직장인 10명중 9명 "정규직 늘리고 비정규직 보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실직 등 직장생활 악영향이 비정규직과 저임금근로자, 여성에게 더 강하게 미쳤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직장갑질119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코로나19 6개월 직장생활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공공상생연대기금의 지원을 받아 여론조사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이 진행했다.
설문 내용은 ▲코로나19에 대한 전반적 인식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황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생활 변화 ▲코로나19 정부정책 평가 ▲코로나19 위기 극복 방안으로, 대부분 영역에서 비정규직이나 여성 등 근로 취약층이 부정적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지난 6개월 간 실직을 경험했다는 직장인은 12.9%였다. 이중 비정규직은 26.3%가 실직을 경험해 정규직 4%에 비해 6.7배 높았다.
월소득 150만원 이하 저임금노동자의 실직 경험은 25.8%, 여성은 17.1%로 나타나 500만원 이상 고임금노동자 2.5%와 남성 9.8%에 비해 각각 10.3배와 1.8배 많았다.
코로나19로 인해 노동시간이 줄었다는 응답도 정규직은 17%인데 반해 비정규직은 41.3%로 조사됐다. 또 저임금자(46.2%)는 고임금자(16.9%)보다, 여성(34%)이 남성(21.3%)보다 일하는 시간이 줄었다.
이에 따라 월소득이 감소했다는 응답도 비정규직이 52.8%로 정규직(19.2%)에 비해 2.7배 이상 높았다. 역시 저임금노동자, 여성, 서비스직에서 줄었다는 대답이 더 많았다.
이들 노동 취약계층들은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더 많이 받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하지 않다'는 답변은 비정규직(43.4%)이 정규직보다 17.5% 높았다. 저임금근로자는 57.6%가 해당돼 고임금에 비해 27.9% 높았다. 여성이 54.3%, 남성 14.2%였다.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19 사태 대응에 대해선 응답자 85.3%가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다만 일자리 위기와 관련해서는 63.1%가 긍정 답변을 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코로나19 이후 정부가 지향해야 할 정책과 관련해서는 90.9%가 '정규직 일자리를 늘리고 비정규직을 보호해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또 그 밖에 '원청업체의 사용자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89.6%)', '마스크 등 공공재에 대한 정부 통제가 필요하다(88.7%)'는 의견에 대다수가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