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극단적인 선택을 한 청와대 특별감찰반원 출신 검찰수사관과 관련한 경찰 수사가 종결됐다.
서울 서초경찰서 관계자는 18일 “범죄 혐의로 볼만한 타살이나 (극단 선택) 교사 방조 혐의점이 없어 이달초 종결했다”고 밝혔다.
검찰수사관 A씨는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운용했던 이른바 ‘백원우 특감반’ 소속으로 활동하면서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경찰 하명수사 사건에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지목됐던 인물이다.
그는 지난해 12월 검찰 소환을 앞두고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후 숨진 A씨 휴대전화 등 유품을 두고 검찰과 경찰의 갈등이 심화되기도 했다.
경찰은 A씨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후 사망 원인, 사망 전 행적 등을 밝히기 위한 수사를 진행했다.
그런데 서울중앙지검은 지난해 12월 2일 서초경찰서 형사팀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 A씨의 휴대전화와 자필 메모 등 유류품을 압수해 가져가버렸다.
이에 경찰은 다시 검찰을 상대로 지난해 12월 2차례, 올해 1차례 휴대전화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은 이를 모두 기각했다.
검찰은 A씨 휴대전화 잠금을 4개월 만에 해체해 경찰 참관 하에 포렌식을 진행하기도 했다.
검찰은 지난 4월 24일 A씨의 휴대전화와 휴대전화 속 일부 자료를 서초경찰서에 넘겨줬다.
하지만 검찰은 경찰에 A씨 휴대전화를 넘겨주면서 자신들이 약 4개월 간의 작업 끝에 알아낸 비밀번호는 알려주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로서는 검찰이 넘겨준 자료 외 휴대전화 관련 다른 내용은 볼 수 없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당시 검찰은 자신들이 알아낸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경찰이 휴대전화를 분석할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알리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민갑룡 경찰청장은 지난달 4일 출입기자단과의 정례간담회에서 “(A씨 휴대전화 잠금을 풀어 분석한) 검찰로부터 일부 자료를 받았지만 그것만 가지고 사망 관련 의혹을 최소화하긴 부족한 것으로 수사팀은 파악하는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
당시 민 청장은 “(A씨가) 사망에 이르게 된 것에 대해 많은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다”며 “나머지 사항은 조사를 했지만 의혹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진상을 더 파악해야한다”고 했다.
또 이용표 서울경찰청장은 지난달 25일 출입기자단과 정례간담회에서 “검찰에서 영장을 청구해주지 않으면 방법이 없고, 앞으로도 유사한 일들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경찰은 수사 종결 후 휴대전화를 유족에게 돌려줬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