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0 17:00 (목)
AI기반한 '개인별 맞춤교통정보' 앱개발
상태바
AI기반한 '개인별 맞춤교통정보' 앱개발
  • 안명옥 기자
  • 승인 2020.06.11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확진자와 이동경로가 겹치는 여부도 확인
▲ 서울시, 인공지능 기반 '개인별 맞춤교통정보' 앱서비스.
▲ 서울시, 인공지능 기반 '개인별 맞춤교통정보' 앱서비스.

올해 연말부터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교통정보를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앱(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감염병과 공존이 불가피한 현 시대에 앱 이용자가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확진자와 이동경로가 겹치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마이데이터(MyData)’ 서비스 개발·실증을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AI를 기반으로 개인의 통행특성을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추천한다. 마이데이터 앱 서비스는 서울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0년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지원사업’에 선정되면서 개발할 수 있게 됐다.

마이데이터 앱 서비스는 신용카드 사용내역, 통신료 납부내역 등 개인이 보유한 다양한 개인정보를 한 곳에 모으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개인에게 부여하는 것이다. 정보제공에 동의한 개인은 각 기업과 기관에 흩어져있는 자신의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하고 이 정보를 업체 등에 제공해 시간, 장소, 상황 등에 맞춰 변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마이데이터 앱에서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대중교통 탑승, 자전거나 킥보드 등 공유 교통수단 이용 등 여러 기관과 기업에 흩어져 있는 자신의 통행·이동 궤적 데이터를 통해 AI가 실시간 맞춤경로를 제공한다. 실시간으로 예측되는 교통, 통행, 날씨 등 정보도 반영된다. 예를 들어 빨리 가는 것보다 한적한 걸 선호하는 이용자에게는 혼잡도가 덜 한 경로를, 버스보다 지하철을 선호하는 이용자에게는 지하철 중심의 경로를, 걷기를 선호하는 이용자에게는 걷기 편한 경로를 각각 안내하는 방식이다.

돌발집회 등 혼잡위험지역 안내서비스와 대중교통 혼잡도 등도 안내해 이용시간 및 이용수단 변경을 통해 수요 분산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쿠폰, 할인, 포인트 등 민간기업의 서비스와 결합해 이용편의는 물론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것으로 시는 전망하고 있다. 

특히 앞으로 코로나19 등 각종 감염병과 공존해야 하는 상황에서 더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확진자 이동동선 데이터와 비교·분석을 통해 내 동선과 확진자의 이동경로가 겹칠 경우, 사후 안내를 통해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교통약자를 위한 서비스도 강화된다. 저상버스를 타야하는 휠체어 이용자가 혼잡버스, 혼잡시간을 피해 자신이 원하는 정류소에서 탑승예약을 할 수 있는 예약 서비스도 제공한다.
시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3년 간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완성할 계획이다. 

올해는 마이데이터 전용 앱을 개발·출시해 코로나19 확진자 중복경로 등 ‘안심이용’ 서비스부터 시작한다.

2021년에는 공유킥보드, 주차장, 대리운전 등 다양한 민간서비스와 결합하고 쿠폰·할인 등 혜택도 도입한다. 2022년에는 대형 플랫폼 사업자에 종속되지 않고 누구나 데이터를 이용하고 사업화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환경을 조성한다. 시는 민간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술과 마이데이터 정보의 결합을 통해 코로나 진단검사 지원 택시 이동 서비스, 대중교통 리워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