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인권관리 평가에서 세계 2위에 올랐다.
이는 지난번 평가보다 순위가 4계단 오른 것으로, 글로벌 경쟁사들인 인텔과 애플(공동 3위, 각 68점), 4위 델(63점), 5위 마이크로소프트(59점) 등을 제친 결과다.
10일 기업들의 글로벌 공급망 인권관리를 평가하는 영국 ‘노더체인’(KnowTheChain)이 발간한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ICT 부문 평가에서 HP와 함께 69점을 얻어 전체 49개 기업중 공동 2위에 올랐다. ICT 부문 1위는 70점을 받은 HP엔터프라이즈가 차지했다.
노더체인은 기업들의 공급망 인권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프로젝트로, 국제기업인권단체 BHRRC, 기업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기관 서스테이널리틱스 등 인권 분야에 영향력있는 4개 글로벌 기관들이 공동 주관해 평가를 진행한다.
평가 항목은 거버넌스·리스크 관리·구매·모니터링 등 7대 영역 77개 문항이며, ICT와 식음료, 의류·신발 부문의 기업들을 평가해 2년마다 보고서를 발행한다.
삼성전자는 2016년부터 시작된 ICT 기업 평가에서 첫해 7위(54점)를 기록한 뒤 2018년 6위(62점), 올해 2위(69점)를 기록하는 등 순위가 꾸준히 오르고 있다.
삼성전자는 특히 책임있는 구매 영역에서 최고점(69점)을 받았다.
보고서는 삼성전자가 협력사를 선정할 때 강제 노동 관련 리스크를 점검하는 한편, 협력사 선정 과정 등을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협력사 행동규범을 통해 협력사들이 이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이행수준·거버넌스, 모니터링 등의 영역에서도 각각 93점, 80점으로 업계 평균 대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삼성전자는 책임있는 광물 정책, 이주근로자 정책 등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정책을 웹사이트에서 공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