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해 사생활 침해 논란없이 신속하게 추적, 관리할 수 있는 코로나19 확산방지시스템이 개발됐다.
KAIST는 전산학부 지능형서비스통합연구실 한동수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 블랙박스 기반의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앱&웹)’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한 교수팀이 개발한 스마트폰 블랙박스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와 와이파이·블루투스·관성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신호를 보관했다가 2주가 지나면 자동으로 폐기한다.
또 개인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저장된 기록은 일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특히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하는 경우에도 문자로 표현되는 장소정보가 아닌 신호정보로 공개하기 때문에 확진자의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
한 교수팀의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은 ▲일반인을 위한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 ▲감염병 관리기관을 위한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 ▲격리자 관리 시스템 등 3개로 이뤄져 있다.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은 확진자의 동선과 개인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동선의 중첩 여부를 체크한다.
현재 방식은 확진자의 정보가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고 개개인이 직접 확진자의 동선을 확인하는 불편이 따르지만 한 교수팀이 개발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수시로 해당 앱의 버튼을 눌러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쉽고 빠르게 체크할 수 있다.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을 통해서는 확진자 관련 역학조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병 확진을 받은 환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신호를 지도상에 표시 해주기 때문에 역학 조사관이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동수 교수는 이 시스템에 실내·외 통합 위치 인식시스템 KAILOS(KAIST Locating System)을 접목시켰다. 이에 따라 실내지도와 신호지도가 준비된 건물에서는 건물 내부에서도 확진자의 이동 동선이 확인가능하다.
격리자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는 전송받은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격리자의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격리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가 수집한 신호는 주기적으로 격리자 관리 시스템에 전송되며 GPS 신호뿐 아니라 무선랜 신호를 사용, 실외 및 실내에서의 확진자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다.
한동수 교수는 “현재 약 30여 종의 스마트폰이 사용되고 있는데 스마트폰마다 탑재된 센서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서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다양한 스마트폰에 이식하고 테스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 작업을 마치는 대로 곧 시스템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PreSPI(Prevention System for Pandemic Disease Infection)’라 이름붙여졌다.
KAIST 신성철 총장도 “PreSPI로 명명된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수고하는 의료진 등 방역분야 종사자의 수고와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 “특히 사생활 침해 논란없이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가 가능해져 K-방역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세계에 과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