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협력을 요청하는 해외 정상들의 러브콜이 쇄도하고 있다. 지난 40여 일 동안 21개국 정상 통화 및 서한 전달이 이뤄졌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2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에서 그동안 이뤄진 문 대통령의 코로나19 대응 협력을 위한 정상외교 현황에 대해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통화를 시작으로 이날 오전 이반 두케 콜롬비아 대통령까지 총 15명의 정상들과 통화를 갖고 코로나19 대응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한·중 정상통화(2월 20일), 한·이집트 및 한·아랍에미리트(이상 3월 5일), 한·터키(3월 6일), 한·프랑스(3월 13일), 한·스웨덴(3월 20일), 한·스페인, 한·사우디, 한·미 정상통화(이상 3월 24일), 한·캐나다(3월 26일), 한·리투아니아 정상통화(3월 27일), 한·에티오피아(3월 30일), 한·불가리아(3월 31일), 한·콜롬비아 정상통화 등이다.
윤 부대변인은 “주말을 제외하고 평일 기준으로 31일 동안 15회 이뤄져 평균 이틀에 한 번 정상통화가 있었던 것”이라며 “효과적인 코로나19 대응을 위해서는 전 세계적인 연대가 중요하다는 점, 우리나라의 방역체계에 대한 경험 공유, 국내 산 진단키트 및 관련 의료 기기 지원 요청 등이 대통령의 정상통화가 빈번하게 이뤄진 요인이었다”고 평가했다.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총 90개국이 공식 외교 경로를 통해 한국의 진단키트 수출 및 인도적 지원을 요청했다. 민간 경로를 통한 요청을 포함하면 121개국이라고 한다.
윤강현 코로나19 방역물품 태스크포스(TF)팀장은 전날 라디오에 출연해 “(진단키트를) 수출해 달라고 하는 게 35개국 정도 요청이 있고 인도적 지원을 해 달라는 게 31개국 정도 된다”며 “수출과 인도적 지원을 혼합해서 해 달라는 게 24개국 정도 되고 민간 차원에서 요청이 들어오는 게 31개국이어서 총 합하면 121개국”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도 외교적 상황에 따라 정상 통화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