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 이후 직장인들이 주중 저녁 시간에 여유가 생기면서 개인 취향의 다양한 체험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는 이른바 ‘마이크로 경험 여가 설계 시대’가 도래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이노션 월드와이드는 이런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직장인 여가 트렌드’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19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이노션 내 빅데이터 분석 전담 조직인 데이터커맨드 센터(Data Command Center)가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주요 블로그 및 카페, SNS 등을 통해 생산된 27만여건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이노션이 최근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직장인 500명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60%가 “올해 여가와 휴식, 취미활동에서 변화가 생겼다”고 답했다.
이 중에서도 “자신을 위한 새로운 즐거움/취미 등을 찾아서 즐길 시간이 더 생겼다”가 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직장인들은 여가 생활과 관련해 주로 ▲시간 ▲공간 ▲체험활동 ▲목적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주고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시간의 경우 주중 오후 6시부터 문화센터 수강생의 급증으로 저녁 수업이 증가하고있는 추세다.
‘주중 2교시’라는신조어가 등장했으며, 백화점 등의 문화센터 타깃층도 2030 직장인및 남성 수강생 증가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공간은 ‘원데이 클래스’에 대한 언급량이 9만여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년(7만6000여건)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원데이 클래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소셜, 여가 액티비티 플랫폼 시장도 함께 성장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노션 관계자는 “동호회나 모임처럼 자신의 취향을 기반으로 한 취향 공동체 중심의 인긴 관계를 선호하고 있다”면서 “가벼운 취향 위주의 관계라는 뜻의 ‘가취관’, 나의 심리적 만족을 위해서라면 아끼지 않는 소비심리를 뜻하는 ‘나심비’ 등의 신조어가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체험활동은 여가, 취미 활동인 미술, 운동, 사진, 음악 등에 있어서 더욱 구체화되고 다양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미술의 경우 여행 스케치, 채색화, 동양화, 아크릴화, 민화, 인물화식으로 세부적으로 언급이 되고 있다.
목적은 ‘미래 투자형’과 ‘힐링 추구형’으로 나뉜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