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31 15:47 (목)
'블랙아웃 막아라' 서울시, 지하철 12.5% 감축운행
상태바
'블랙아웃 막아라' 서울시, 지하철 12.5% 감축운행
  • 송준길기자
  • 승인 2013.06.10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市, 공공에너지 15% 절약 '여름철 에너지대책' 마련

올 여름 최악의 전력대란이 예상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대규모 정전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다.

서울시는 태양광 발전시설의 활용을 최대화하고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하도록 한 '2013 여름철 에너지절약 종합대책'을 마련해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7~8월 두 달간 출퇴근 시간을 제외한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지하철 운행간격을 최대 1분까지 연장한다. 하루 평균 운행 지하철을 1050대에서 919대로 12.5% 감축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피크전력 1만1500㎾를 줄일 계획이다. 이는 일반가정 3834가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다.

피크시간대인 오후 2~5시 청계천과 중랑천 등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가동되던 펌프도 축소 가동된다.

시는 다음달부터 오는 8월까지 청계천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가동하던 335㎾ 펌프 3대 중 1대의 가동을 중단한다.

중랑천 상류와 도봉천, 방학천과 우이천 등 중랑천 권역으로 물을 보내기 위해 가동되던 610㎾ 펌프 5대도 피크시간대에 가동을 멈추게 된다.

이를 통해 일반가정 1128가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3385㎾를 줄일 예정이다.

태양광 발전시설을 조기준공하고 열병합 발전시설을 가동하는 등 최대한 많은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됐다.

시는 암사정수센터와 강서농수산물시장 등 공공시설과 민간부문의 태양광 발전시설 1만220㎾를 조기에 준공한다. 또 '관심단계'가 발령되면 가동할 수 있는 2500㎾ 규모의 열병합 발전시설을 확보했다.

이밖에 시는 생활 속에서 전력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신청사 조명 2만3000개 중 7200개를 피크시간대에 소등한다. 서소문청사에 설치된 LED 조명의 조도를 90%에서 80%로 낮춘다. 시청 직원들에게는 '쿨비즈'를 허용한다.

'개문냉방' 등 에너지 낭비를 막기 위한 단속도 병행한다.

시는 실내 냉방온도인 26℃보다 실내온도를 낮추거나 냉방기를 켠 채 문을 열고 영업하는 행위 등을 단속한다. 다음달 1일부터 최대 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대형건물 실내 냉방온도인 26℃ 제한 대상을 에너지 다소비건물 424곳에서 100㎾ 이상 건물 1만3095곳으로 확대해 단속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에너지다소비건물의 기준을 에너지 사용량 2000TOE/년에서 1000TOE/년으로 강화하기 위해 관련법 개정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임옥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공공부분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과 함께 민간부문의 냉방전력 과소비 행태를 근절해 나가겠다"며 "시민 모두 에너지 절약에 동참해 달라"고 부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