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학년도 입시에서 고려대, 성균관대 등 32개 대학이 수학능력시험의 최저학력 기준을 완화하거나 폐지하면서 입시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9일 교육계에 따르면 수능 최저학력 기준의 완화로 수험생들의 부담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경쟁자가 늘어나면서 논술이나 면접 등에서의 부담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학들은 올해 처음 도입되는 선택형 수능으로 기존에 정했던 최저학력기준의 미달자가 예년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준을 낮추거나 없앴다.
대성학력개발연구소 이영덕 소장은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낮춰 수험생들은 수시모집에서 수능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었다"며 "다만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조정한 대학들은 그 기준이 너무 높은 대학들이었기 때문에 조정해 낮춘 수준도 만만치 않은 기준"이라고 말했다.
이 소장은 "수능이 A형과 B형으로 구분되면서 일부 대학이 최저학력기준을 낮췄지만 결코 작년 수준에 못지 않게 높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아주 높았던 전형이 주로 논술고사를 시행하는 수시 일반전형이었는데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낮아지면 결국 논술고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돼 수험생들은 수시 일반전형의 논술고사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 이만기 평가이사도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됨에 따라 수시 지원에 있어 부담감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수능의 영향력이 줄어듦에 따라 상대적으로 학생부나 논술, 면접, 적성의 영향력이 당초안보다 올라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이사는 "논술 우선선발의 경우 여전히 등급 취득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지난해에 비해 급격히 논술의 영향력이 급상승하는 우려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6개 대학은 예체능계열의 수능 A/B형 반영 방법을 변경했다.
이 평가이사는 "A형과 B형 중 어느 한 쪽만을 허용한 대학의 경우 수험생들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좁아질 가능성이 있었다"며 "대학 입장에서는 지원율의 저하와 함께 일부 성적 분포대에서 수험생들이 특정 대학으로 쏠릴 위험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