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악구가 매주 화요일을 ‘공중선 합동정비의 날’로 지정해 폐선 제거, 늘어진 선 정비, 단자함 설치, 여유장보관함 설치 등 이면도로 중심의 합동정비를 실시한다.
구는 이미 2009년에 한전 및 기간 통신사업자와 체결한 공중선 정비협약에 의거 지속적으로 정비를 실시해 왔으며, 2012년 11월 초에 구내 불량공중선에 대한 전수조사를 자체적으로 실시해 21개동 210개 구간을 정비대상 구역으로 선정해 놓은 상태다.
또한 기간 통신사업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정비가 시급해 보이는 9개 구역 29개 구간을 실태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실태조사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본격적인 공중선 정비를 실시한다.
2013년 2월 현재 관악구 지역 내 전신주는 전주 8,613기, 통신주 9,109기로 총 17,722기이며, 공중선의 길이(긍장)는 2,339km에 이른다. 수치에 포함되지 않은 집안 인입선까지 고려하면 관악구 하늘 대부분이 공중선으로 가려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들 공중선 중 상당수가 복잡하게 얽혀있거나 지나치게 늘어져 있어 지상고 시설기준에 미달되는 ‘불량 공중선’에 해당해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주민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1990년대 초반부터 정보화 사회 촉진 및 정보통신사업 활성화에 따라 공중선 설치물량이 급격히 증가해왔고, 또 최근 초고속인터넷·IPTV 등 신규 통신서비스·기술 발전에 따른 통신업체들의 과다 경쟁이 공중선 난립으로 이어지고 있다.
공중선 정비가 완료되면 해당 구역에서는 복잡하게 얽혀있거나 여러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인입선, 필요이상으로 긴 여유장 및 동일 전주에 과다하게 설치된 통신설비, 지상고 시설기준에 미달되는 통신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는 폐선 및 사선, 동일 전주에서 2개 이상 방향으로 도로를 횡단하는 통신선, 상하단 조가선간에 엇갈린 통신선, 지나치게 뭉쳐있거나 늘어진 통신선 등이 모두 정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