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정보통신(IT) 기반 경제를 움직일 21세기의 새로운 원유로 불리는 ‘빅데이터(big data)’ 강국 진입을 위해 공동인프라 구축, 산·학·연 공동연구개발 등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28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 등과 공동으로, '스마트 국가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마스터 플랜’을 28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마스터 플랜에 따르면, 정부는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공동인프라를 정부내에 구축하고, 대학에 관련 과목도 개설하는 등 산학역 공동연구개발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공공데이터 개방의 폭을 넓히기 위한 법령 제정을 추진하고, 빅데이터 기술개발 로드맵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오는 2017년까지 빅데이터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할 3개 분야도 선정됐다. 범죄발생 장소의 예측, 자연재해 조기 감지, 시간 예측 등 3개 부문이다.
정부는 이들 3개 과제를 조기 선정해 내년부터 우선 추진하며, 오는 2017년까지 16개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부처내 다양한 정보를 통합해 국민들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며, 빅데이터 공유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정보 보호대책도 마련하기로 했다.
빅데이터는 SNS 등을 통해 축적되고 있는 대용량의 정보를 뜻하는 용어로, 구글·애플·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 사이에서 IT기반 경제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21세기 원유'로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IDC에 따르면, 전세계 디지털 정보량은 2년마다 2배로 증가하고 있으며, 수년내에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에 따른 ‘빅데이터 시대’가 열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보고대회에서 “정보화의 핵심은 인간”이라며 “정보화가 고도화 될수록 인간성 회복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 정보화는 인류 모두가 행복하기 위한 기반”이라며 “정보통신 분야 기술이 사회적 약자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실생활에는 어떻게 적용돼 인류가 보다 나은 삶을 영유할 수 있는지 고민해 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