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9년 이후 국회 사무처 및 국회의원 사무실의 컴퓨터가 수백차례의 해킹을 당한 것으로 조사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이 기간동안 안보 관련 정보를 다루는 국회 국방위·정보위·외통위 소속 의원실의 컴퓨터에 해킹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운영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이 국회사무처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2008년 이후 악성코드로 인한 '해킹 경유지 접속' 피해는 844건, 악성코드로 인한 '자료유출' 피해는11건, '이메일 비밀번호 유출' 피해는 223건 등이다.
이중 국회 국방위·정보위·외통위 소속 의원실의 악성코드로 인한 '해킹 경유지 접속' 피해는 전체 844건 중 11%인 97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메일 비밀번호 유출은 전체 223건 중 34건이 국방위와 외통위 소속 의원실로 조사됐다.
또 개인 PC가 통째로 해킹당한 '자료유출'도 전체 11건 중 4건이 국방위와 외통위 소속 의원실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해킹대상이 정보위, 국방위, 외통위 등 안보관련 상임위원회 소속에 집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의 주요 안보 정보를 빼내기 위한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다"며 "이에 대한 철저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국회는 국가의 중요한 정보와 자료를 다루는 곳"이라며 "외부세력의 해킹에 대비한 보안 시스템 구축과 인력 확보에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