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은 10일 현행 6개의 공무원 직종 중 '기능직'과 '계약직'을 폐지해 4개의 직종으로 축소하는 것을 골자로 한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의 연내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새누리당 권성동 정책위부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당정협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당정은 일반직과 기능직, 별정직 및 계약직 등으로 복잡하고 세분화돼 있는 현행 공무원 직종체계를 실제 업무특성에 맞게 통합·간소키로 했다"고 밝혔다.
당정은 이날 회의에서 공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공무원 직종개편이 시급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일반직과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기능직, 계약직, 별정직 공무원들을 일반직으로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권 정책위부의장은 "지난 1981년에 만들어진 현행 직종체계는 지난 30년간 유지됐으나 변화된 행정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세분화 돼 직종간 불필요한 갈등을 조장하는 등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됐다"면서 공무원 직종 개편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특히 기능·별정·계약직 등 소수직종의 경우 일반직 위주의 인사관리와 낮은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도 컸다"며 "이에 정부는 지난 1년간 공청회 등을 열고 각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개편방안을 검토해왔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