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0 17:00 (목)
금융노조 총파업 철회…'사회적 약자보호 어디로 갔나'
상태바
금융노조 총파업 철회…'사회적 약자보호 어디로 갔나'
  • 김재현 기자
  • 승인 2012.07.29 1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결국 총파업을 철회했다.

29일 금융노조는 서울 을지로 사무실에서 긴급 대표자 회의를 갖고 오는 30일로 예정됐던 총파업을 무기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김문호 위원장은 "29일 오전 농협 노사가 자율성 확보와 고용안정 특별단협을 체결했다"며 "총파업을 경고한 것만으로도 메가뱅크 및 산업은행 민영화 저지 등 큰 성과를 거뒀다"고 총파업 철회 배경을 설명했다.

금융노조는 지난 11일 임금 및 단체협상 교섭결렬에 따른 전체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해 91%의 찬성으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다만 지난 27일 KB금융이 우리금융 매각 입찰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금융노조가 내세웠던 '우리금융 민영화를 통한 메가뱅크 추진 중단'이라는 명분이 사라졌다.

더해 농협중앙회노조가 지난 28일부터 사측과 협상을 진행, 고용안정 등에 합의해 총파업에 불참하기로 결정한 것이 총파업 철회의 배경이 됐다. 결과적으로 KB와 우리금융, 농협노조의 고용 불확실성이 사라진 것.

이에 따라 금융노조는 결국 '밥그릇 싸움'으로 총파업을 결의했던 것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그동안 김 위원장은 수차례의 기자간담회를 통해 "금융산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주장했지만 정권과 금융당국, 사용자측은 귀를 닫고 있다. 결국 금융산업이 탐욕자본으로 전락했다"며 총파업의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20만 대학생 학자금 무이자 대출 ▲청년층 채용 확대를 통한 청년실업 해소 기여 등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요구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상황에서 고용안정 등 금융노조의 이익만 챙기고 총파업을 철회하게 됐다.

한편 성낙조 대변인은 "파업을 연기한 것은 정부와 사측에 보내는 경고"라며 "20만 대학생 무이자 학자금 지원 등 사회적 약자보호 요구안에 대해 사측이 태도변화를 보이지 않을 경우 언제든지 파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