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통합당 대선주자인 손학규·김두관·정세균 후보가 15일 당내 대선후보경선 규칙을 놓고 당에 단일요구안을 제시했다.
여론조사 1위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상임고문이 이 안을 수용할지가 변수로 등장했다.
손학규 측 조정식 의원, 김두관 측 문병호 의원, 정세균 측 최재성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대통령선거 후보자 추천 경선규칙 단일안'을 발표했다.
이 안에는 ▲결선투표제 실시 ▲국민배심원제 도입 ▲현장투표, 모바일투표, 국민배심원 투표 반영비율 1대1대1 ▲당원 대상 예비경선(컷오프) 실시가 포함됐다.
이들은 "강력한 대선후보로서 대표성과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결선투표제를 실시해야한다"며 "각 후보의 자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국민배심원제를 도입해야한다"고 단일안의 내용을 설명했다.
이어 "완전국민경선제가 법제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바일투표를 할 경우 역선택, 대리투표, 공개투표 등 우려가 있다"며 "현장투표, 모바일투표, 국민배심원제를 1대1대1로 반영해 완전국민경선이 아닌 '국민경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비경선에 관해서는 "당원 선거인단이 참여하는 1인2표 방식 선거를 치러야한다"며 "단 예비경선 실시 전 텔레비전 토론회를 실시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조정식 의원은 "3명의 후보가 진지한 토론 끝에 큰 틀에서 단일안을 마련했고 이 안을 경선준비기획단에 전달할 것"이라며 "후보자와 당의 합의로 축제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당이 안을 받아들일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또 "정당 같은 정치집단에서는 후보자간 합의가 가장 중요하다"며 "지역순회 경선으로 2명의 후보를 결정해 두 사람을 추석 밥상 화제로 올린 뒤 추석 후에 결선투표를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문병호 의원은 "민주당은 변호사회가 아니다. 논리적 적합성만을 따지지 않는다. 대선 승리를 위해 규칙을 변화시킬 수 있다"며 "문재인 고문은 박근혜와 다르다"고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또 "앞으로 많은 산을 넘으려면 모든 후보가 동의할 룰을 만들어야한다. 여론조사 1위 후보가 불만족스러운 룰을 만들어야 한다"며 "프로야구도 플레이오프와 코리안시리즈를 거치지 않냐. 코리안시리즈에서 이긴 사람이 승자로 인정된다"고 결선투표제 도입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강조했다.
최재성 의원은 "완전국민경선은 당원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모두 경선에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경선준비기획단이 마련한 안은 당원의 참여비율을 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국민경선이 아닌 '국민경선'"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투표와 모바일투표, 국민배심원을 1대1대1로 반영하는 것 역시 국민경선"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또 다른 대선주자인 김영환 의원은 손학규·김두관·정세균 후보의 단일안 중 '당원 대상 예비경선' 부분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컷오프 여론조사를 당원만을 대상으로 실시한다면 이는 세몰이 담합이자 정치 결착이며 묵과할 수 없는 원칙 훼손"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김 의원은 또 예비경선을 앞두고 텔레비전 토론 외에 권역별 연설·토론회를 실시해야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