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30~40대 자녀가 부모와 동거하는 수치가 10년 새 9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서울시가 인구주택총조사·사회조사(통계청) 등의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통계로 본 서울의 가족구조'에 따르면 부모와 동거하는 30~40대 자녀 인구가 2000년 25만3244명에서 2010년 48만4663명으로 10년 새 91.4%(23만1419명) 늘었다.
30~40대 인구 중 부모와 동거하는 자녀비율 역시 같은 기간 7.6%에서 14.7%로 2배 정도 많아졌다.
노부모 부양이 자녀책임이라는 견해는 줄고 자녀와 동거하지 않겠다는 부모는 늘고 있는 반면, 보육 취업 등의 문제로 부양받는 장성한 자녀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60세이상 부모가 자녀와 동거하는 이유를 묻는 설문조사 결과 '부모봉양'보다 '자녀부양' 이유가 7.2%포인트 더 높았다.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이 불가능하거나 손자녀 양육 등 자녀의 가사를 돕기 위해서라는 이유는 39.5%, 부모의 독립이 불가능해서라는 이유는 32.3%로 집계됐다.
가족구조 및 형태도 달라졌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는 지난 10년 새 1.3%(2만9532가구) 감소한 반면, 미혼·이혼·사별가구는 2000년 83만5596가구에서 2010년 128만3490가구로 10년 새 53.6%(44만7894명) 늘었다. 이들 가구의 비율도 같은 기간 27.1%에서 36.6%로 증가했다.
또한 가구원규모별 가구분포를 보면 1~2인 가구는 10년 새 59.3%(60만9225가구)나 늘어 2010년에는 전체 일반가구 중 절반 가량인 46.7%를 차지했다.
특히 1인가구는 10년 새 70.2%(35만2361가구) 증가해 2010년에는 서울의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 됐다. 전체가구 중 24.4%를 차지, 그동안 가장 비중이 높았던 4인가구(23.1%)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아울러 고령화 및 미혼·이혼 증가는 여성 가구주 증가로 이어졌다. 2010년 여성 가구주는 98만4950명으로 10년 새 63.5%(38만2415명) 늘었다. 여성 가구주 비율 역시 2000년 19.5%에서 2010년 28.1%로 상승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