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주거취약계층인 저소득층 주민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지난 5월 기금사업 공모를 실시하여 선정된 8개의 주거복지센터를 통해 주거복지전달 체계를 구축, 맞춤형 주거복지서비스 사업을 21일부터 본격 추진한다.
공공기관에서 맞춤형 상담과 지원이 어려웠던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독거노인 등 주거취약계층을 위해 맞춤형 지원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역에 기반을 둔 주거복지센터를 개소하여 주거복지 지원사업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주거취약계층 발굴 및 주거복지 지원기반 구축사업(맞춤형 사례관리), 공공주거복지제도(임대주택, 바우처, 임대보증금 융자, 집수리 등)연계 사업, 주거취약계층(장애인, 독거노인 등) 전기시설 등 소규모 주택관리개선사업 등 지역별 주거복지 특화사업이다.
주거복지센터에서는 지역내 기초수급자, 차상위 계층, 장애인, 독거노인 등 주거취약계층을 발굴하여 상담사례관리를 통해 DB를 구축한다. 주거복지 사례관리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기존 사회복지 시스템으로 파악할 수 없었던 주거문제에 대한 사례관리 시스템의 개발로 체계적인 사례관리가 가능해져 주거취약가구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촘촘히 하여 위기가구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서울시가 영구 및 공공임대아파트, 장기전세주택, 장기안심주택, 공공원룸주택, 기존 다구가 다세대 매입임대주택 등 다양한 공공임대아파트 등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있으나, 주거취약계층이 이러한 임대주택에 대한 입주조건 및 모집시기 등 세세한 정보제공을 받지 못하여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지만 앞으로는 주거복지센터의 주거복지전문가가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지원된다.
주거복지센터에서는 장애인, 독거노인 등 거동이 어려운 계층에게 도배,장판 등 집수리 외에 형광등이나 수도꼭지 교체 등 비교적 단순하지만 거주자의 고령이나 질병으로 인해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장애인, 독거노인 가구 등에 화재안전장치를 마련하여 화재위험을 예방하고, 소독 및 방역사업 등을 통해 주거공간의 안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긴급임대료 지원사업 등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