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11-23 14:27 (일)
충남도‚ 대왕범바리 ‘양식 비교 시험’ 본격 착수
상태바
충남도‚ 대왕범바리 ‘양식 비교 시험’ 본격 착수
  • 민수연 기자
  • 승인 2019.06.30 14: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두리・온배수・바이오플락 양식 시작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가 아열대성 어종인 ‘대왕범바리’에 대한 가두리, 온배수 유수식, 바이오플락(BFT) 양식 비교 시험에 본격 착수했다.

대왕범바리는 자이언트 그루퍼와 타이거 그루퍼를 교잡한 종으로, 수질 등 환경 적응성이 뛰어나고 질병에 매우 강하며, 25∼30℃ 고수온에서 성장이 빠른 특징이 있다.

바리과는 특히 중국과 홍콩, 동남아시아 등에서 소비가 많은 어종으로, 세계 시장 규모는 4조 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서해 연안 가두리 양식장 고수온 피해 대응과 새로운 고부가가치 양식 품종 개발을 위해 지난 1월부터 대왕범바리 양식 시험을 진행해 왔다.

전남 지역 양식어가에서 부화한지 60일 가량 지난 4㎝ 전후 대왕범바리 치어 3000마리를 확보, 보령수산업협동조합이 관리 중인 보령화력 온배수양식장 2개 수조에 입식했다.

지난 3월에는 보령화력 온배수양식장에서 2000마리를 도 수산자원연구소 양식 수조로 옮겼다.

이 중 1500마리를 서산 창리 어촌계가 관리 중인 천수만 가두리 양식장으로 최근 입식을 마쳤다.

가두리 양식장에 입식한 대왕범바리는 평균 310g에 달하며, 보령화력 온배수 양식장 대왕범바리는 400g 안팎이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오는 10월 말까지 대왕범바리에 대한 가두리 양식 시험을 진행, 온배수 유수식 및 바이오플락 양식과의 성장도를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해 대왕범바리에 적합한 최적의 양식 방법을 찾을 계획이다.

도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가두리 양식장에 입식한 대왕범바리는 오는 10월 1㎏ 안팎으로 성장하며 상품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온배수 유수식 양식과 바이오플락 양식에서 생산한 대왕범바리와 비교하면, 연내 가장 효율적인 양식법과 경제성 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남 서해 연안에서는 고수온으로 ▲2013년 85개 어가 53억원 ▲2016년 73개 어가 50억원 ▲지난해 9개 어가 29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