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4 12:42 (금)
인천시, 공공시설물 내진보강사업 추진 강화
상태바
인천시, 공공시설물 내진보강사업 추진 강화
  • 김성민 기자
  • 승인 2018.01.21 12: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진유 60% 진입 목표…사업비 240억원 투입

인천광역시는 지진으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18년도 기존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을 수립하여 올해 내진보강사업 추진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8년도 기존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은 공공건축물, 도로시설, 수도시설 등 주요 공공시설에 대하여 지난해보다 더욱 강화된 내진보강 추진계획을 담고 있다. 

올해 내진보강사업은 내진성능평가 73개소, 내진보강공사 39개소, 재건축 2개소 등 총 114개소(248억8100만원)에 대하여 추진하며 내진율 60%대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설물별로 살펴보면 공공건축물 26개소(성능평가 14, 보강공사 10, 재건축 2), 도로시설 20개소(보강공사), 수도시설 20개소(성능평가 11, 보강공사 9), 하수처리시설 48개소(성능평가)이다. 

총 사업비 248억8100만원 중 237억1600만원은 본예산, 재난안전특별교부세, 재난관리기금을 통해 확보했으며, 나머지 11억6500만원은 추가경정예산 및 재난안전특별교부세 신청을 통해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한편, 인천시는 지난해 내진성능평가 142건, 내진보강실시설계용역 9건, 내진보강공사 6건, 재건축 3건을 실시하여 총160건(사업비 98억4700만원)의 내진보강사업을 추진하여, 전체 970개소 중 563개소 내진성능확보를 통해 (2016년도) 내진율 50.4%에서 7.6% 상승한 (2017년도) 58.0%의 내진율을 달성했다.

전국 평균 내진율이 43.7%임을 감안할 때 인천시 내진율이 상당히 향상됐음을 알 수 있다.

대상시설물별 내진율은 공공건축물(51.8%), 도로시설(55.4%), 도시철도(100%), 수도시설(91.6%), 하수처리시설(15.2%), 공동구(80.0%), 배수갑문(11.1%), 가스시설(100%), 병원시설(75.0%)이다. 

이로써, 시는 당초목표(2045년)보다 15년 단축된 2030년까지 내진율 100%를 달성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인천시 재난안전본부 관계자는 “지진으로부터 300만 인천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내진보강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지진 시민행동요령 소책자 제작·배포(20만부), 지진대피소 확충(실내구호소 10개소),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운영(15개소) 등 다양한 방재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