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8 16:37 (화)
성북구, 마을만들기 7개 특화사업 추진
상태바
성북구, 마을만들기 7개 특화사업 추진
  • 송준길기자
  • 승인 2012.02.26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북구는 주민 스스로 물리적, 문화적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주민공동체를 회복하는마을만들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구는 ▲삼선동 장수마을 공동체 복원 ▲길음휴먼타운 내 명품 마을만들기 ▲성북동 앵두마을 만들기 ▲어린이 친화마을 조성 ▲온실가스 없는 마을 만들기 ▲도시아카데미 운영 ▲성북구 사회적경제포럼 운영 등을 특화사업으로 추진한다.
구는 삼선동 장수마을(삼선동 1가 300번지 일대 19,926㎡) 공동체 복원을 위해 골목디자인교실 운영과 골목가꾸기 시설공사 등으로 ‘생활공간 공공미술 마을가꾸기’를 추진한다.
또 자투리땅 녹화사업 및 녹화재료 지원, 도시가스 설치, 도로정비 및 조명등 설치, 저소득층 집수리, 마을기업 ‘동네목수’와 연계한 일자리 창출, 빈집을 활용한 문화공간 조성 등을 계획 중이다.
길음휴먼타운(길음동 1171번지 일대 28,149㎡) 내 명품 마을만들기는 담장허물기, 방범CCTV설치, 가로환경정비, 지역공동체복원 등을 통해 추진한다. 3월에 마을만들기 추진을 위한 주민협의체를 구성한 뒤, 도시아카데미를 통한 사업대상발굴과 사업신청, 마을만들기 운영위원회 개최 등을 거쳐 8월부터 사업 시행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성북동 앵두마을(성북동 109번지 일대 53,600㎡)을 대상을 한 마을만들기는 역사와 문화의 흔적찾기, 주민공동체 활성화, 주거환경 개선 등을 통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혜화문 주변 웰빙뜨락길 조성, 앵두나무 심기, 주민쉼터 조성, 전통담장만들기, 화단가꾸기, 화가 장승업 기념관 조성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구는 초등학생 인구 비율이 18%로 성북구 평균인 12%보다 월등히 높은 길음뉴타운을 어린이 친화마을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 구정참여단과 어린이 안전협의회 등 어린이 안전 민관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워킹스쿨버스와 공동육아 협동조합 운영 등을 추진한다. 이 밖에도 온실가스 없는 마을 만들기를 위해 에너지 절약에 동참하는 그린아파트 지정하고 에코마일리지 홍보와 맞춤형 에너지진단 서비스 등을 실시한다.
교육과 실습을 통해 마을만들기에 대한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리더를 육성하는 도시아카데미는 올 상하반기에 1번씩 8주 과정으로 열린다. 성북구 내 보전이 필요한 단독주택지나 저층주거지가 연구 대상이 될 전망이다.
성북구 사회적경제 포럼은 민관협력 거버넌스로 조직이 구축되며 사회적기업 및 마을기업 연구팀, 마을만들기 연구팀, 협동조합 연구팀 등을 구성 운영한다. 매월 한차례씩 주제에 따른 초청강사 특강, 연구팀의 연구결과 발표, 참여단체 관계자 발표, 토론 등으로 포럼이 진행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