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원은 2일 박근혜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안봉근·이재만 전 청와대 비서관 등에 상납한 돈이 “특수공작사업비에서 사용했다”고 밝혔다.
서훈 국정원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의 비공개 국정감사에서 “청와대에 상납한 40억원이 판공비냐, 특수활동비냐”고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고 국민의당 간사인 이태규 의원이 브리핑에서 말했다.
서 원장은 이 돈이 통치자금 지원인지, 뇌물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검찰 수사 중이라 수사 결과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국정원의 적폐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대통령과 국정원장의 문제가 가장 크다”면서 “권력이 정보기관을 권력의 도구로 쓰려는 부분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서 원장은 국정원의 향후 개혁 방향과 관련해 대공 수사기능에 대해 “현재 국정원 역량이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다른 곳으로 이관하는 것이 맞다”고 답변했다.
또 국내 정보 수집 기능 폐지에 따라 과거 존안카드, 인사자료 작성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인사 자료를 작성 안한다”며 “청와대에서 요청이 와도 기능이 없으므로 제출할 수 없다. 다만 고유 신원조회 업무는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국감에서 “국정원은 직원들이 국정농단에 개입된 것을 통절하게 반성해야 하고, 이러한 반성 위에서 새로운 정보기관으로 태어나야 한다”며 “적폐청산은 (TF에서 선정한) 15가지뿐만 아니라 문제가 된다면 시기와 분야를 가리지 않고 발본색원해야 한다”라고 주문했다고 민주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이 말했다.
이에 서 원장은 “현 상황을 참담하게 받아들인다”라며 “시기에 관계 없이, 정권과 상관없이 조사하겠다”면서 “국정원 문제를 국민들 앞에 공개하고 다시 태어나는 수순이 필요하다. 정치 행위와 절연하고 정권 비호기관이 아닌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관으로 재탄생할테니 지켜봐 달라”고 강조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의 적법성 여부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고 한국당 간사인 이완영 의원이 전했다. 한국당이 적폐청산과 관련해 두달 전 김대중-노무현 정부 재조사가 필요한 국정원 관련 9건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것에 대해서는 서 원장은 “예비조사 등 검토 중이다. 특정 정권을 가리면서 일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또 ‘이명박-박근혜 정부 이전 적폐도 (조사)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서 원장은 “클라스가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국정원은 이번달 내로 적폐청산과 관련한 조사를 마무리하고, 재발방지책 마련 등 후속 조치에 착수하겠다고 업무보고에서 밝혔다.
이어 “남은 사건도 이달 중 마무리 짓고 재발방지책 마련 등 후속조치를 이행해 나가겠다”면서 “새롭게 ‘제2기 국정원’ 시대를 열어나가겠다는 각오로 대내외 안보현안에 빈틈없이 대처하고 국가경쟁력 제고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