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와 관련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게 "중국에 진출한 우리 국민과 기업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제약과 제재가 원만히 해결되도록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오부터 40여분간 시 주석과 전화 통화를 갖고 한·중 관계 전반과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며 이같이 말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홍보수석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통화에서 "사드에 대한 (중국 측) 관심과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며 "(서로의) 이해를 높여가면서 양국간 소통이 조속히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 "북한의 추가적 도발이 없어야 사드 배치 문제 해결이 용이할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시 주석은 사드 문제와 관련한 중국의 기존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수석은 "시 주석은 사드 문제와 관련한 기본 입장을 설명했다"며 "외교관례상 우리쪽에서 말하지 않고 중국에서 말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반도 사드 배치는 중국의 이익을 해치기 때문에 단호히 반대한다는 게 시 주석의 일관된 입장이다.
문 대통령이 사드 제재와 관련한 시 주석의 관심을 요청한 데 대해서도 "양국간 상호발전을 위해서 노력하자"는 원론적 수준의 반응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양국 정상은 조속한 시일 내에 상호 특사를 교환키로 했으며, 특히 문 대통령은 사드와 북핵 문제를 논의할 별도의 대표단을 보내겠다고 시 주석에게 제안했다. 사드 관련 대표단은 양국 외교부를 통해 실무 협의를 거쳐 규모나 시기 등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 문 대통령은 "북한 핵 문제는 긴장 완화가 중요하고 모든 당사자들이 노력해야 한다"며 "북한과 한반도 비핵화는 양국 공동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또 "북핵은 포괄적·단계적 문제로 압박과 협상을 병행해야 한다"며 "제재도 북한을 핵 폐기를 위한 협상장으로 이끄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에 시 주석도 공감을 표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시 주석은 중국 산둥성 터널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한국인 유치원생 10명이 숨진 참사와 관련해 "가슴 아프고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지방정부에 사고를 원만히 처리토록 지시했으며 한국 유족께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감사의 뜻을 전하면서 "이 사건이 끝까지 원만하게 매듭되도록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날 통화에서 양국 정상은 서로에 대한 인간적 관심도 표명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님을 뵌 적은 없지만 TV에서 많이 봐서 친숙하게 느껴진다"며 "중국의 꿈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이 잘 실현되기를 기대한다"고 덕담을 건넸다.
시 주석도 "문 대통령을 만난 적은 없지만 큰 관심을 갖고 지켜봐 왔고 평범하지 않은 개인 경력과 생각, 관점이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화답했다.
그러자 문 대통령은 "한·중 수교 이후 많은 성과가 있었고 관계 발전의 잠재력도 무궁무진하다"며 "신뢰와 협력을 통해 실질적 전략협력 관계로 나아가자"고 말했다.
양국 정상은 빠른 시일 내에 직접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는 뜻을 교환했으며 시 주석은 문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을 초청했다.
한편 이날 통화는 문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시 주석이 먼저 걸어왔다. 중국 주석이 한국 대통령의 취임 축하 전화를 걸어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윤 수석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