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위생관리 않거나 음식·약, 도움 거부

지난 10년간 스스로를 돌보지 않는 '자기방임형' 노인학대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보건복지포럼' 9월호 '노인학대 대응정책의 현황과 과제'에 따르면 자기방임 노인학대의 비중은 2005년 1.0%에서 10.1%로 증가했다.
학대행위자가 본인인 비율이 같은 기간 1.0%에서 14.7%로 크게 늘었다.
자기방임 노인학대는 개인위생관리를 하지 않거나 음식, 약을 거부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사회에서 도움의 손길마저 원치 않는 사례다.
알코올 중독 등 상당수 정신질환과 관계가 있지만 생활고 등과 연계됐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
반면 스스로 도움을 거부한다는 점에서 정부나 지역사회에서 지원하기도 매우 어렵다. 또 집 안에서만 생활하는 경우도 있어 복지 사각지대로 여기지기도 한다.
이윤경 연구원은 "노인학대의 특성은 외부로 드러나기보다는 은폐되기 쉬우며, 특히 스스로 보호하지 못한 노인이 피해자일 가능성이 높다"며 "적극적 발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