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가 발생하면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주거지역에서 소방차 진입이 불가하거나 곤란한 지역이 전국에 1000여곳 가까이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 소방차 진입곤란(불가)지역 1489곳중 주거지역은 991곳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전국 화재 4만4435건 중 1만1857건(26.6%)이 주거지에서 발생했다. 반면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한 주거지는 지난해 908곳보다 올해 83곳 더 늘었다.
소방차 진입곤란(불가) 구간은 화재발생 시 출동하는 폭 2.5m짜리 중형펌프차를 기준으로, 도로 폭이 2m이하이거나 이동이 불가한 장애물이 있는 구간을 소방차 진입불가 지역으로 분류한다.
또 도로 폭이 3m 이상이고 이동이 불가능한 장애물 또는 상습 불법주차 등으로 진입이 어려운 구간을 소방차 진입곤란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소방차 진입 불가 지역으로는 서울 471곳, 부산 302곳, 인천 187곳 등의 순으로 많았다. 소방차 진입곤란 구간이 인구가 많은 대도시에 집중돼 화재발생시 인명피해가 클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박 의원은 "소방차 진입로가 확보 안 되면 작은 화재라 하더라도 골든타임을 놓쳐 더 큰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불러올 수 있다"며 "화재현장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인명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국 주거지에 대한 화재 초기진압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