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4 12:02 (월)
서울 1인여성가구...2030 '직장·학교', 4080 '배우자' 영향
상태바
서울 1인여성가구...2030 '직장·학교', 4080 '배우자' 영향
  • 윤이나 기자
  • 승인 2016.09.06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1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 ECC 다목적홀에서 열린 문화예술분야 취업박람회에서 참가 대학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이화여대 프레임 이화창조아카데미에서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문화예술분야로의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들에게 다양한 정보 및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2016.07.11.

 서울에 혼자 사는 2030세대 여성 10명 중 6명은 직장이나 학교를 이유로 독립생활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혼·사별 등 배우자의 유무가 1인 가구 생활에 영향을 줬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지난 6월 한 달간 서울 거주 20~80대 1인 가구 여성 1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생활실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20~30대 여성들의 61.5%는 '직장 또는 학교와의 거리' 때문에 혼자 살고 있었다. '개인적 편의와 자유'라는 답은 26.3%를 차지했다.
 
부모와 만나는 횟수를 묻는 말에 이들은 44.3%가 월 1회 이하라고 답했다. 간헐적이거나 명절 등에만 부모를 직접 만났다. 소통이 없다는 응답자도 전체의 3.7%였다.
 
40대 이상 연령대에선 '배우자와의 이혼·별거·사별'로 혼자 산다는 여성이 가장 많았다. 40~50대 여성 42.5%와 60~80대 여성 75.3%가 배우자를 이유로 혼자 산다.
 
'개인적 편의와 자유' 때문이라는 응답자는 40~50대에선 26.8%로 청년여성층과 비슷했지만, 60~80대에선 6.0%에 그쳤다.
 
1인 가구로 사는 데 어려운 점으로 20~30대 여성들은 '경제적 불안감(26.6%)'과 '몸이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의 어려움(26.3%)'을 주로 꼽았다. '성폭력 범죄 등 안전에 대한 불안감(19.5%)'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1인 가구 여성들은 경제보다 건강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40~50대는 아플 때 대처가 어렵다는 답변이 27.4%로 경제적 불안감(23.8%)을 앞질렀다. 60~80대는 10명 중 4명(39.3%)이 아플 때 대처의 어려움을 꼽았다.
 
1인 가구 여성들의 주된 고민 상담자는 친구나 이웃이었다. 다만 이같은 답변은 20~30대 여성 63.5%, 40~50대 여성 55.0%, 60~80대 여성 42.0% 등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른 세대와 달리 60대 이상 여성 10명 중 3명(28.2%)은 자녀에게 고민을 털어놓는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같은 생활실태 결과와 관련, 여성가족재단은 6일 오후 2시 재단 시청각실에서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포럼은 '서울 1인 가구 여성의 삶 연구-세대별 의제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정책대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강경희 여성가족재단 대표는 "가구 유형 중 1인가구가 제일 많을 정도로 늘고 있어 세대별 여성 1인 가구의 생활실태와 맞춤형 정책 수요를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며 "그간의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실제 필요한 정책으로 현실화하기 위해 포럼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