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에 혼자 사는 2030세대 여성 10명 중 6명은 직장이나 학교를 이유로 독립생활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혼·사별 등 배우자의 유무가 1인 가구 생활에 영향을 줬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지난 6월 한 달간 서울 거주 20~80대 1인 가구 여성 1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생활실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20~30대 여성들의 61.5%는 '직장 또는 학교와의 거리' 때문에 혼자 살고 있었다. '개인적 편의와 자유'라는 답은 26.3%를 차지했다.
부모와 만나는 횟수를 묻는 말에 이들은 44.3%가 월 1회 이하라고 답했다. 간헐적이거나 명절 등에만 부모를 직접 만났다. 소통이 없다는 응답자도 전체의 3.7%였다.
40대 이상 연령대에선 '배우자와의 이혼·별거·사별'로 혼자 산다는 여성이 가장 많았다. 40~50대 여성 42.5%와 60~80대 여성 75.3%가 배우자를 이유로 혼자 산다.
'개인적 편의와 자유' 때문이라는 응답자는 40~50대에선 26.8%로 청년여성층과 비슷했지만, 60~80대에선 6.0%에 그쳤다.
1인 가구로 사는 데 어려운 점으로 20~30대 여성들은 '경제적 불안감(26.6%)'과 '몸이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의 어려움(26.3%)'을 주로 꼽았다. '성폭력 범죄 등 안전에 대한 불안감(19.5%)'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1인 가구 여성들은 경제보다 건강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40~50대는 아플 때 대처가 어렵다는 답변이 27.4%로 경제적 불안감(23.8%)을 앞질렀다. 60~80대는 10명 중 4명(39.3%)이 아플 때 대처의 어려움을 꼽았다.
1인 가구 여성들의 주된 고민 상담자는 친구나 이웃이었다. 다만 이같은 답변은 20~30대 여성 63.5%, 40~50대 여성 55.0%, 60~80대 여성 42.0% 등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른 세대와 달리 60대 이상 여성 10명 중 3명(28.2%)은 자녀에게 고민을 털어놓는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같은 생활실태 결과와 관련, 여성가족재단은 6일 오후 2시 재단 시청각실에서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포럼은 '서울 1인 가구 여성의 삶 연구-세대별 의제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정책대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강경희 여성가족재단 대표는 "가구 유형 중 1인가구가 제일 많을 정도로 늘고 있어 세대별 여성 1인 가구의 생활실태와 맞춤형 정책 수요를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며 "그간의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실제 필요한 정책으로 현실화하기 위해 포럼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