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가운데 3.5명은 생활형편이 6개월 전에 비해 나빠졌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주대학교 사회조사연구센터가 지난달 3일부터 30일까지 28일 간 도민 9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도민의 생활 환경 및 정책 평가에 관한 전화조사 결과다.
조사는 생활환경 평가와 생활형편에 대한 가계태도 평가, 도지사 및 시장(군수)의 업무수행에 대한 평가, 사회적 균형에 대한 평가, 우선시 돼야할 복지 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 평가 등으로 나눠 이뤄졌으며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3.1%p다.
조사결과 경기도민들은 6개월 전에 비해 생활형편이 나빠졌다고 평가한 응답자가 35.1%로 좋아졌다는 응답(9.9%)를 크게 상회했다.
6개월 후 생활형편에 대한 질문에도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26.5%)이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24.1%)보다 높았다.
경기지역에서 생활하면서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교통이 3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자리(22.8%), 문화(17.1%)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경기남부는 교통과 문화에 더 불편함을 느낀 반면 경기북부는 상대적으로 교육과 일자리에 더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집계됐다.
민선5기 도지사의 도정 수행에 대해 응답자 가운데 61.5%가 보통이라고 평가했지만 긍정적 응답(14.2%)보다 부정적 응답(24.3%)이 더 많았다. 도지사의 도정수행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지난해 상반기 실시한 조사에 비해 2%p 하락했고 부정적 응답은 8%p 늘었다.
경기지역 시장(군수)의 업무 수행에 대해 부정적 응답(28.6%)이 긍정적 응답(15.8%)보다 높았다.
사회적 균형에 대한 평가에서 응답자 중 77.9%가 현재 우리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해 불균형 인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의 경우 80.4%가 불평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해 60세 이상(68.9%)에 비해 경제적 불평등을 더 심각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적 이슈로 부각됐던 한미 FTA가 경기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정적 응답(40.8%)이 긍정적 응답(18.1%)보다 두배 이상 높게 조사됐다.
경기도민이 바라는 복지 정책의 우선 순위로는 노후 생활 안정화 정책이 57.2%로 가장 높았고 출산 및 양육지원(33.3%)은 30대 연령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지원 정책(9.2%)로 가장 적은 비율을 보였지만 20대 연령층에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