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2일 한일정상회담에서 과거사 부정, 자위대의 한반도 진출 가능성에 대한 내용이 다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 한·일정상회담은 '줄·푸·세' 정상회담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위안부 피해에 대한 책임회피 등 일본의 과거사 부정논란을 줄이고, 자위대의 한반도 진출시 한국정부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오해는 풀고, 일본의 집단 자위권행사 가능성에 대비한 신한반도 질서는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상 회담은 정례화보다 정상화가 먼저다. 무라야마 담화가 한·일정상회담의 머릿말이 되기를 바란다. 한·일·중의 역사와 영토 분쟁을 제쳐놓고 안보·무역·경제 관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 문제와 관련, "위안부 피해 할머니에 대한 문제는 '올 오어 낫씽(모두가 아니면 전무)' 방식이 돼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위안부 피해에 대한 문제를 공동으로 인식하고, 피해협상의 정례화 창구를 열어 문제 해결에 대한 일본 의지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과 관련해 "한·중FTA는 정체된 경제를 뚫기 위한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 아니다. 수단과 목적이 바뀌어서는 안된다"며 "박근혜 대통령의 최후 통첩시한을 맞추려고 야당 압박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또 한중 FTA 비준을 위해서는 국민 건강을 심각히 위협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근본 대책 외에도 식품 검역 주권문제 등을 위한 추가 별도 협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