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4 11:53 (목)
포천 장자석탄화력발전소 이달 착공
상태바
포천 장자석탄화력발전소 이달 착공
  • 구용환
  • 승인 2015.10.12 15: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책위, 수도권 최악의 대기오염지역 우려

2년 째 환경오염 우려로 논란이 된 포천시 장자산업단지 내 집단에너지시설이 이달 착공할 계획이어서 반대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12일 포천시에 따르면 (주)GS포천열병합발전은 최근 산업통산부로부터 공사승인을 받아 이달 말 공사를 시작해 2018년 준공할 계획이다.

이 시설은 민자 5400억을 들여 장자산업단지 내 5만8142㎡부지에 들어서는 장자산업단지와 신평2리 개별 공장들에 제공될 열원과 중기를 공급해주는 열병합 발전 시설이다.

그러나 포천시가 2011년 도시가스 공급사업자 측과의 협의 무산을 이유로 주 연료를 LNG에서 유연탄으로 확정하고, STX와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시민사회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처럼 환경피해, 대기업 특혜논란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사업 시행사가 공사를 시작할 것이란 소식에 석탄화력발전소 반대 포천범시민연대는 10만 반대서명 운동에 돌입했다.

범시민연대는 “포천지역은 수도권 최악의 대기오염지역으로 석탄발전소가 가동하면 오염도가 가중될 것”이라며 “특히 이 시설은 전기최대 발전방식으로 운전하면 열공급보다 전기생산이 83.8%에 달해 사실상 석탄화력발전소로, 집단에너지사업법을 위배한 것이므로 허가는 취소돼야 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범시민연대 김창균 공동대표는 “시 발전과 시민에 아무 이익이 없는데, 공사를 강행한다면 더 깊은 수렁에 빠질 것으로, 지금이라도 사업을 전면 중단하고 친환경 연료로 바꿔야 한다”며 “공사저지를 위한 공사중지가처분 등 법적 검토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포천시는 “장자산단 집단에너지사업은 열과 전기 병행 생산으로 공장들에게 제공되는 스팀 단가를 낮춰 기존 폐목재와 폐플라스틱 등을 때 환경피해를 야기하는 자가 보일러를 철거할 수 있어 오히려 대기환경이 개선될 것”이라며 “질소산화물(-53%), 먼지(-82%)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감소되고, 대기질은 연평균 90% 줄어들 것”이라고 환경피해 우려를 반박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