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교육의 새판을 짜는 2012년 경기혁신교육으로 행복한 교육공화국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18일 학생들에게 꿈과 용기를 주고 대한민국 교육의 혁신을 위한 '2012년 경기혁신교육 종합 구상'을 발표했다.
김 교육감은 경기혁신교육 종합 구상 발표 기자회견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와 관련해 "최근 학교폭력을 비롯한 우리 교육의 문제와 아이들의 삶을 생각하고 고민하면서 제가 느낀 것은 고통이었고 어떻게 해서든 해결해야한다는 책임감이었다"면서 "우리가 지금 해야할 일은 성급하게 누가 또는 어떤 방책이 단박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 처럼 내놓고 서둘러 봉합하는 것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성세대와 사회가 만들어 놓은 돌봄과 교육, 책임의 결핍을 통절하게 되돌아봐야한다"면서 "아이들 사회의 숨겨진 비밀을 볼 수 있어야하고 진정으로 공감하고 위로하고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끼리의 따뜻한 관계와 감수성을 회복하도록 도와야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7월 노르웨이에서 발생한 최악의 극우 테러 참사와 관련해 김 교육감은 '우리의 대응은 더 많은 민주주의와, 더 많은 개방성, 그리고 더 많은 인간애'라고 밝힌 노르웨이 옌스 스톨텐베르크 총리의 말을 인용해 "응징과 처벌이라는 단순 대응은 절대 정답이 아니라는 신념이 역설적이게도 오늘날 지구상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 노르웨이가 유지되는 근본이 되고 있음을 살펴야한다"며 평화와 사랑의 힘으로 학교폭력을 이겨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육감은 "경기도의 아이들이 학생과 학부모와 교사가 모두 '행복한 교육공화국'에서 행복한 교육을 발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면서 "학교폭력 문제에 대응하는 것도 이 기조를 유지할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경기도교육청은 학교폭력과 관련해 그동안 추진됐던 모든 정책을 처음부터 면밀히 다시 살펴 학교폭력의 예후를 정확하게 파악함은 물론 가해 학생에 대한 명백한 책임을 물을 것이다"면서 "우리 아이들을 폭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해 단호하게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다"고 다짐했다.
이어 김 교육감은 "학교폭력 해결의 가장 어려운 부분인 학생들의 신고를 활성화하기 위해 가해학생 피해학생을 동시에 안전하게 보호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면서 "안심하고 신고하고 안심하고 스스로를 맡길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상곤 교육감은 경기교육의 틀을 다시 짤 것을 제안했다.
그는 "학생을 비롯한 우리 모두의 행복,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획일적, 암기식 교육의 '산업사회형 학교체제'를 과감하게 혁신해 국가 교육정책을 근본부터 다시 짜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육감은 "한계에 이른 점수위주, 경쟁교육은 이제 멈출 때가 됐다"면서 "점수 위주 경쟁교육의 결과는 학생들이 꽃다운 목숨을 잃고 가족관계가 파괴되고 학생 뿐 아니라 학부모와 교사가 모두 헤아릴 수 없는 고통속에서 승자독식의 치킨게임에 내몰렸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교육감은 "어떤 이유로도 학생들을 살리지 못하는 교육현실에 면죄부를 줄 수 없다"면서 "학생들을 살리고 꿈과 용기를 줄 수 있는 교육체계로 과감하게 전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산업사회형 학교체제를 벗어나 모두를 위한 수월성교육과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미래형 학교체제로의 전환도 김 교육감은 제안했다.
이를 위해 김 교육감은 '2012년 경기혁신교육 종합 구상'을 발표했다.
김 교육감은 "경기혁신교육 종합구상은 학교가 집단지성을 발휘해 자율적, 창의적인 운영이 되도록하는 것"이라면서 "교육청은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학교운영을 지원하고 학교나 교원들이 창위적인 교율활동을 하도록 NTTP 연수를 통해 지원하며 지속가능한 경기혁신교육을 위해 인사제도와 학교평가 제도를 혁신하겠다"고 약속했다.
교육은 단순히 교육당국의 문제만은 아니다고 밝힌 김 교육감은 "가칭 '국가교육위원회'를 독립기관으로 구성해 미래지향적인 대한민국 교육의 청사진을 범국민적 합의하에 다시 그려야한다"면서 "여야와 정파를 떠나 학생들과 국민을 행복하게 하고 국가의 올바른 미래를 위해 범 정부차원의 국가교육위원회를 구성해야한다"고 제안했다.
또 김교육감은 초중등 교육은 시도교육청 자율에 맡기고 교과부는 대학교육과 평생교육에 집중하는 방안, 교육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국가경제규모에 걸맞는 보편적 교육복지가 실현될 수 있도록 고등학교와 유치원을 의무교육화하고 무상교육을 실현 등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