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은 지난 5월 발생한 '중동호흡기증후권(메르스)' 여파로 위축됐던 국내 경기가 7~8월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낸 것으로 진단했다.
한은이 27일 내놓은 '8월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16개 지역본부에서 7월 말~8월 중순까지 지역내 업체 및 유관기관 등을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국내 경기가 메르스의 충격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동남권, 충청권, 호남권에서 '소폭 증가'로 나타났고, 대경권(대구경북)과 강원권, 제주권만 2분기에 이어 '보합'으로 나왔다.
생산 측면에서는 제조업은 제자리에 머물렀으나 서비스업에서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 생산의 경우 수도권에서 반도체를 중심을 소폭 늘었지만 충청권과 호남권, 대경권에서 2분기 수준에 그치고 동남권에서 조선과 석유정제를 중심으로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반적으로 나아졌다. 도소매업과 관광·여가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면서 수도권과 동남권, 충청권, 호남권에서 모두 증가했다. 다만 제주권은 외국인 관광객 감소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향후 서비스업 생산은 메르스 종식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으로 대부분의 권역에서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요 측면에서는 소비가 좋아졌다. 메르스 이후 위축됐던 소비심리가 다소 개선되면서 제주권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는 앞으로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지만 가계부채 누증, 주거비 부담 증가는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