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8 13:43 (월)
식품업계, '할랄' 인증으로 블루오션 노려
상태바
식품업계, '할랄' 인증으로 블루오션 노려
  • 김민기 기자
  • 승인 2015.04.10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슬람 율법에 따라 만들어진 먹고 쓸 수 있는 제품을 뜻하는 '할랄(Halal)'이 식품업계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인증 과정이 까다로운 할랄 식품 특성 상 소비자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식품이란 인식이 확산되면서 무슬림 이외에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할랄 식품은 2012년 기준 1196조원(1조880억 달러)규모로 세계 17%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다. 2018년엔 1788조원(1조62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식품업계 블루오션이다.

풀무원도 2013년 생라면 브랜드 '자연은 맛있다'로 국내 라면 최초로 'JAKIM(자킴)'의 인증을 받고 이슬람 식품 시장에 진출했다. 'JAKIM' 인증은 말레이시아 정부가 발급하는 인증으로 할랄 인증 가운데 하나다.

풀무원은 JAKIM 인증을 위해 제품의 원재료, 생산공장, 이슬람 현지 시장 반응까지 전 과정을 분석하고 계획했다. 합성첨가물 무첨가 원칙 등 식품제조원칙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풀무원은 제품에 들어가는 모든 원재료의 생산·운송·저장 등 생산의 전 과정에 돼지고기 DNA 검사를 실시했다.

생산공장 주변도 관리해 이슬람 율법에서 금한 개∙고양이 등의 접근을 방지해 교차 오염을 엄격히 차단하는 등 제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풀무원은 현재 자연은 맛있다의 '맵지 않고 깔끔한 맛'과 '얼큰하고 깔끔한 맛’'총 2종에 대해 할랄 인증을 받고 2013년 11월부터 말레이시아로 수출하고 있다. 출시 1년만인 2014년 약 10배 가까운 매출성장을 기록했다.

우유업계와 제과업체도 연이어 할랄 인증을 받고 무슬림 시장 본격 공략에 나서고 있다. 최근 서울우유와 빙그레는 말레이시아 정부로부터 정식 수출업체로 등록돼 올 상반기에 처음 유제품을 수출할 예정이다.

빙그레의 경우 바나나맛 우유 3종과 메로나 4종 등 7종의 제품이 'JAKIM(자킴)' 인증을 받았다. 이슬람 문화를 바탕으로 한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유 재고처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계로서는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된다.

크라운제과는 2013년에 대표 스낵제품 4종(죠리퐁, 콘칲, 못말리는 신짱, 카라멜콘과 땅콩)에 대해 국내 제과업계 최초로 싱가포르의 Muis 할랄 인증을 획득하고 할랄 식품 시장에 진출했다. 롯데제과의 꼬깔콘, 오리온 초코파이 역시 할랄 인증을 받았다.

SPC그룹은 2012년 바게트, 소보로빵 등 60여개 제품에 대한 할랄 인증을 받았으며 올해 말레이시아 등지에 처음 매장을 열 계획이다.

김태한 풀무원 해외사업팀장은 "K팝과 한류 드라마 열풍으로 무슬림 시장에서의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잠재 시장은 무궁무진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국내 기업의 할랄 인증과 진출이 늘어날수록 무슬림 시장의 먹거리 한류 바람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