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11-13 12:02 (목)
광명시 , 2026년 본예산안 1조3471억원 편성···기본사회·탄소중립·자치분권·민생경제에 힘 실어
상태바
광명시 , 2026년 본예산안 1조3471억원 편성···기본사회·탄소중립·자치분권·민생경제에 힘 실어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11.13 1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정부 국정과제와 발맞춘 정책 추진으로 시민 체감 효과 극대화
▲ 박승원 광명시장이 지난 9월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2025년 제2차 재정전략회의'에 참석해, 재정 전문가들과 함께 국가 재정정책 기조에 따른 지방 대응 전략과 광명시 재정 혁신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광명시는 2026년 일반회계와 특별회계를 포함한 총 1조3471억원 규모의 본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 본예산 1조1343억원 대비 18.8% 증가한 것으로, 일반회계 예산이 본예산 기준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서는 규모다.

이번 예산안은 정부의 중점 국정과제와 발맞춰 ▲ 기본사회 ▲ 탄소중립 ▲ 자치분권 ▲ 민생경제 등 4대 핵심 분야에 재원을 집중했다. 또한 불필요한 사업은 정비하는 등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재정 운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분야별로는 기본사회 분야 501억원, 탄소중립·정원도시 분야 1460억원, 자치분권·사회적경제·평생학습 분야 278억원, 민생경제·일자리 분야 497억원 등 총 2736억원을 중점 투자한다.

시민의 기본적 삶을 보장하기 위해 ▲ 기본소득 66억원 ▲ 기본돌봄 227억원 ▲ 기본교통 161억원 ▲ 기본주거 4억원 ▲ 기본교육 27억원 ▲ 기본의료 15억원 ▲ 기본사회 정책 1억원 등 501억원을 편성했다. 돌봄·교통·의료·주거 등 일상 전반에서 시민이 기본권을 누릴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한다.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녹색 인프라 확충을 위해 ▲ 탄소중립 98억원 ▲ 도시숲길 조성 152억원 ▲ 정원도시 조성 107억원 ▲ 도시농업 활성화 15억원 ▲ 생태계 보호·청정에너지 전환 등 87억원 ▲ 자원순환경제 1001억원 등 1460억원을 편성했다. 정원도시 조성과 자원순환경제 구축을 통해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기반을 만들어갈 방침이다.

또한 ‘시민이 곧 행정의 주체’라는 가치 아래 지역공동체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한 자치분권, 평생학습, 사회적경제에도 재정을 집중한다. ▲ 자치분권 78억원 ▲ 평생학습 117억원 ▲ 도서관 서비스 확대 66억원 ▲ 사회적경제 활성화 14억원 ▲ 지역공동체 자산화 3억원 등 278억원을 반영했다.

소상공인·중소기업 지원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 일자리 사업 316억원 ▲ 지역화폐 126억원 ▲ 지역상권 활성화 24억원 ▲ 중소기업 육성 16억원 ▲ 창업지원 9억원 등 497억원을 편성했다.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고, ‘모두가 함께 잘 사는 경제’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예산은 중앙정부의 국정과제 방향에 부합하면서도, 광명시가 지향하는 ‘기본사회 실현과 지속가능한 도시’ 비전을 구체화한 예산”이라며 “시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지역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재정을 전략적으로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2026년 본예산은 오는 11월 19일부터 12월 19일까지 진행하는 제297회 제2차 광명시의회 정례회에서 심의·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