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31 16:10 (일)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직접 깐다…5년간 1만3천대 추가 설치
상태바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직접 깐다…5년간 1만3천대 추가 설치
  • 류효나 기자
  • 승인 2025.08.31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자체 최초 '기간통신사업자' 등록
정보 접근 격차 및 가계통신비 절감
노후장비 2000대 교체해 품질 제고
▲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관련 사진.
▲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관련 사진.

서울시가 주요 거리, 대중교통 등에 이어 공원, 전통시장 등 공공장소에 와이파이를 직접 깔아 시민들의 통신비 부담을 줄여준다.

시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기간통신사업자’로 지정됐다고 8월31일 밝혔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서울전역에 공공와이파이 설치가 원활해져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공익목적 통신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정부는 국가나 지자체가 자체 통신망을 구축해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한해 왔으나 지난해 1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으로 지자체도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이 가능해지면서, 서울시가 지자체 최초로 제도적 권한을 확보하게 됐다.

현재 서울시는 주요 거리, 전통시장, 공원, 버스 정류소를 비롯한 대중교통에서도 지자체 최대 규모인 3만4000여대의 공공와이파이를 설치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5년간 1만3000여대 신규 설치해 사각지대를 줄이고, 노후장비 2000여대는 교체해 전체적인 품질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현재 보유 중인 5298㎞의 자가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총 777㎞의 광케이블도 새롭게 구축한다.

공공와이파이 설치 장소는 하천, 전통시장 등 시민 이용이 많지만 민간통신사들이 적극적으로 망을 설치하지 않던 곳과 유동인구와 이용데이터 분석 자료 등을 바탕으로 시민 수요가 높은 곳부터 우선적으로 적용, 안정적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와이파이 장비를 LTE보다 빠른 고성능 Wi-Fi 6와 Wi-Fi 7로 단계적으로 전환하고 보안 수준을 높인 WPA3 인증 방식을 도입한다. 아울러 에스플렉스센터 내에 마련된 통합관리센터에서 365일 24시간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시구전담직원으로 구성된 ‘장애처리기동대’가 음영지역이나 민원 발생시 현장에 출동해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시는 공공와이파이 확산으로 정보 접근 격차를 줄이고, 매년 수천억 원에 달하는 가계 통신비 부담을 덜겠다는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