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 오는 4일 오전 11시로 확정된 가운데, 서울시가 자치구·소방·경찰 등 관계기관과 함께 안전관리대책 최종 점검에 나섰다.
서울시는 2일 오전 10시 30분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주재로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1·2·정무부시장과 재난안전실장·교통실장·시민건강국장·소방재난본부장·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등 시민 안전대책 관련 부서 실·국장, 그리고 인파 밀집 지역인 종로구·중구·용산구·영등포구에서 참석했다.
시는 우선 선고일 하루 전날인 3일부터 선고 다음날인 5일까지 총 3일간 자치구, 소방·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력, 일 최대 2400여명의 현장대응 인력을 안국역·광화문역·시청역·한강진역·여의도역 등 주요 지하철역과 인파 밀집지역에 투입하기로 했다.
시 재난안전상황실 상황관리도 강화한다. 상황실과 연결된 교통·방범용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주요 집회 장소에 대한 인파 밀집도를 모니터링하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등 협력체계를 가동한다. 재난안전현장상황실(재난버스)도 현장에 배치한다.
또 여의도 지역 혼잡을 막기 위해 영등포구청과 협의해 ‘여의도 봄꽃축제’의 경우 기존 4일에서 8일로 시작일을 순연했다.
지난 3월 중순부터 구성한 ‘시민안전대책본부’도 본격 가동했다. 대규모 탄핵집회 안전관리를 위해 지휘부와 8개 실무반으로 구성된 시민안전대책본부는 사전에 준비한 안전관리대책을 재차 점검하고 협조 체계를 철저히 확인할 예정이다.
교통 불편 최소화를 위한 시내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운행 조치도 추진한다. 특히 헌법재판소에서 가까운 ‘3호선 안국역’은 당장 이날부터 1~4번 출입구를 우선 폐쇄하고, 선고 당일에는 하루 종일 폐쇄 및 무정차 통과한다.
지하철 24개 역사에도 하루 약 415명의 안전관리 인력을 배치해 승강장·개찰구 질서 안내, 출입구 안내를 지원한다.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상황을 관리하며 실시간 혼잡도에 따라 무정차 통과, 임시열차 편성·전동차 추가 투입 등 탄력운행에도 나선다.
광화문 교차로, 세종대로 사거리, 안국역, 여의대로, 한남동 등 주요 집회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의 시내버스는 경찰의 교통 통제에 따라 무정차 또는 임시 우회가 있을 예정이다.
한편 시는 외국인 관광객 안전과 편의를 위해 서울 관광 누리집 ‘비짓서울’ 및 SNS 채널을 통해 4일 지하철 역사 폐쇄 등 정보를 다국어로 전파하고, 서울시관광협회 소속 500여 개 여행사·호텔에도 집회 관련 정보와 우회 경로 안내 등을 협조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