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직 국회의장·국무총리·당 대표 등 정치 원로들이 개헌 동력 확보를 위한 서명운동에 나선다고 밝혔다.
정대철 대한민국 헌정회장은 26일 서울 여의도에서 정치 원로들로 구성된 ‘나라걱정원로모임’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정 회장과 이낙연 전 국무총리, 박병석·정세균 전 국회의장, 각당 대표를 지낸 서청원·김무성·손학규·황우여 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우리 헌정회가 다음달 5일 오후 2시에 서울역 광장에서 개헌 서명운동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개헌 필요성에 대해서는 입을 모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심판 최종변론에서 ‘직무에 복귀하면 개헌에 집중하겠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는 “어제 마침 윤 대통령이 전향적인 자세를 취했기 때문에 오늘부터 여야가 합의해서 탄핵재판을 중단시켜야 한다”며 “그 다음에 백년대계에 맞는 새 헌법을 만들고 큰 문제를 야기한 윤 대통령은 책임지고 사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는 “통합의 구체적인 방법이 뭐겠나. 개헌”이라며 “60% 이상의 국민들이 (개헌을) 원하기 때문에 윤 대통령의 말씀이 다행스럽지만 구체성이 없으니 당에서 입장을 분명히 한 다음에 야당이든 의장이든 찾아가서 일을 성사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어제 윤 대통령의 최후발언을 보고 물꼬가 좀 트일 수 있나 생각했다”며 “(탄핵소추가) 기각이 돼 복귀한다면 거국내각을 확실히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정세균 전 국회의장은 “불행히도 국민들의 신뢰를 많이 잃어버린 상황에서 그런 말씀을 하셨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별 효용이 없지 않을까 걱정이 든다”며 “그것을 기반으로 뭔가를 기대하는 게 현실적으로는 좀 어려운 문제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이낙연 전 총리는 “개헌을 하지 않고 그대로 가면 죽은 체제 위에서 새로운 권력이 탄생한다는 것인데 그 권력자들이 철인이라면 몰라도 덕성이 매우 의심스러운 사람들이 된다면 지금보다 더 심한 파탄이 오지 말란 법이 없다”며 “지금같은 양당제를 그대로 가져가면서 대통령이 국회에 대해 아무런 견제권을 갖지 못한다면 이런 불행은 계속 나타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은 “정말 개헌을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집권 초기에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그런 여론을 만들지 않고서는 어렵다는 얘기를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