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비이재명)계가 이재명 대표를 향해 5년 단임 대통령중심제 권력 구조를 바꿔야 한다며 개헌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나섰다.
김두관 전 의원은 6일 KBS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지금이 개헌의 가장 적기”라며 “다시는 ‘제2의 윤석열’이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개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가 결단할 경우,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면 개헌 국민투표까지 부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국면을 전환하려고 한다는 오해는 있지만, 국민의힘이 제안하고 많은 단체가 개헌해야 한다고 하는데, 국회 1당인 우리 당이 매우 미온적”이라면서 “이재명 대표를 혹시 만난다면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지난 1987년을 보면 4개월 안에 다 했다”면서 “이 시기에 ‘87년 체제’를 극복하는 새로운 국가 운영 원리로 헌법을 바꾸지 않고 언제 바꾼다는 것이냐”고 되물었다.
앞서 비명계 잠재적 대선 주자들도 이 대표가 개헌 추진에 앞장서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지난 4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탄핵의 종착지는 이 땅에 내란과 계엄이 다시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개헌’이 되어야 한다”며 “이 대표께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개헌 추진에 앞장서 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통령 권력 분산, 견제·균형 시스템 강화 등을 개헌 과제로 열거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도 “개헌이라는 사회적 합의를 새로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은 “대선 승리를 위해 (민주당이) 개헌을 능동적으로 밀고 가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지난 대선 때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를 공약한 이 대표는 개헌에 대한 입장 표명을 자제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는 개헌은 필요하나 당장 합의하는 것은 어렵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