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이 11일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시민통합당(혁신과통합)과의 통합안을 결의하면서 범야권 통합 절차가 막바지에 이르렀다.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은 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통합을 위한 세부 절차를 확정하고 합당을 의결하는 과정만을 남겨두고 있다.
야권 통합이 성사되면 당원수 120만명의 민주당과 조합원 90만명이 소속된 한국노총 그리고 시민사회가 함께 하는 거대 야당이 탄생하게 된다.
또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김두관 경남지사 등 친노(친노무현) 진영이 신당에 합류하게 되면 영남까지 야권의 세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리게 된다.
하지만 민주당이 통합안 의결 과정에서 '의결 정족수 논란'이라는 치명적인 오점을 남기면서 향후 야권 통합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전당대회에는 전체 대의원 1만562명 중 55% 가량인 5820명이 입장했다. 참석 인원으로만 보면 의결 정족수(재적 대의원의 50% 이상인 5281명)를 넘는다.
하지만 실제 투표에는 전체 대의원 수의 48% 가량인 5067명이 참여해 의결정족수가 채워졌는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했다.
민주당 당무위원회는 전당대회에 참석한 대의원을 출석 구성원으로 보고 표결이 의결 요건을 충족시켰다는 해석을 내렸다. 4427명이 통합에 찬성하고 640명이 반대해 통합안은 가결됐다.
민주당 내 '통합 찬성파'는 당헌 해석에 대한 최종적 권한을 갖고 있는 당무위에서 결정한 사안인 만큼 통합안이 절차적 정당성을 갖췄다고 보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와 시민통합당은 이르면 12일 수임기관 합동회의를 열어 예정대로 통합 절차를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하지만 당 내 '통합 반대파'는 의결정족수의 기준이 표결에 참석한 인원임을 뒷받침하는 대법원 판례를 제시하며 전대 의결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법적 분쟁으로 번질 경우 연내 통합과 지도부 선출을 마무리한다는 민주당의 통합 계획에는 차질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지난 7월 한나라당이 전국위원 1명의 가처분 신청으로 7·4 전당대회 무산 위기를 맞았던 선례도 있다.
찬반 양측이 극단적인 상황을 피한다 해도 전대에서 생긴 앙금이 해소되지 않아 통합 논의가 원활하게 진행되기는 어렵다는게 중론이다.
민주당 측 합당 수임기구 구성원 7명 중에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와 박주선 최고위원이 추천한 인사 3명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통합 찬성파는 이번 사태가 반대파의 기획된 작전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반대파를 주도하고있는 원외위원장협의회가 표결 직전 단체문자를 돌려 투표 불참을 독려했다는 주장이다.
반면 반대파는 찬성파가 당무위에서 수적 우세를 앞세워 통합안 의결을 밀어붙였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최악의 경우 야권 통합 신당이 출범한 뒤 반대파가 합류하지 않아 야권 통합이 분열로 귀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현 민주당 지도부는 통합 신당의 임시지도부가 구성되면 동반 사퇴할 예정이다. 당내 갈등을 수습하고 통합 마무리 작업에 동력을 제공하는 일이 현 지도부의 마지막 임무로 남게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