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여사 문제로 촉발된 대통령실 특별감찰관 추진 문제를 두고 국민의힘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이 좀처럼 입장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28일 당 최고위원회 회의에서는 특별감찰관 추천을 논의하기 위한 의원총회를 공개로 열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특별감찰관 문제가 의원들 간 표 대결로 갈 경우 당이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확전을 피하기 위한 물밑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 회의에서는 친윤계와 친한계 사이에 신경전이 벌어졌다. 이날 회의는 한동훈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특별감찰관 추천·임명 문제를 두고 공개적으로 충돌한 이후 처음으로 함께 참석하는 자리였다.
인요한 최고위원이 당내 갈등이 격화하는 상황을 두고 “스스로를 파괴하는 건 피해야 한다”며 화합과 단결을 강조하자, 김종혁 최고위원이 “국민들은 의원들이 어떤 주장을 펼치는지 알 권리가 있다”며 “공개 의원총회로 토론과 표결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반박하는 모습이 연출됐다.
김 여사 등 대통령 친인척을 감찰하는 특별감찰관 추천을 논의하기 위한 의원총회는 국정감사 일정 등을 고려할 때 이르면 내달 초 열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친윤계와 친한계 모두 표결이 최선의 방식은 아니지만,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을 경우 표결을 피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 사이의 협의 가능성을 두고도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여권에서는 ‘표 대결로 간다면 공멸’이라며 친윤·친한계 간 협의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 현재 양측 모두 당내 세력 구도에서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고, 대다수 의원이 중립지대에서 충돌을 관망하고 있다.
만약 표 대결이 이뤄진다면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한쪽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야당이 김건희 특검법을 강행하는 상황에서 여권이 분열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한 대표와 추 원내대표도 특별감찰관 문제와 관련해 더 이상의 언급을 삼가며 확전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추 원내대표는 이날 김 최고위원의 공개 의원총회 제안과 관련 “언급하지 않겠다”며 “의원들의 요구가 있어서 의원총회를 한다는 이야기를 말씀드렸다. 국정감사를 다 마치고 의원님들의 의견을 듣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대표의 경우 이날 공개 의원총회 제안과 관련해 “중요 사안을 논의하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여러 가지 의견들이 있을 것”이라고 답하며 대화 의지를 보였다.
조만간 한 대표와 추 원내대표가 특별감찰관 추천 등 현안을 놓고 대화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 초선 의원은 “의원총회를 열기 전에 당에서 합의를 내는 모습이 가장 바람직하지 않겠나”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