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4 13:29 (월)
산부인과 전문의 3명 중 1명 60대 이상, 전북은 평균 59.6세
상태바
산부인과 전문의 3명 중 1명 60대 이상, 전북은 평균 59.6세
  • 김상기 기자
  • 승인 2024.10.20 1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뉴시스
▲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뉴시스

산부인과 전문의 10명 중 3명은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인구 1000명당 전문의 수는 전국 0.24명으로 0명대에 그쳤다.

17개 시도 중 12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밑돈 가운데 전북자치도 역시 0.21명인 실정이다. 

20일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 보건복지위)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8월 말 기준 전체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6082명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 전문의의 평균연령은 54.4세로, 전체 산부인과 전문의의 1/3은 법정 정년인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하 전문의는 708명으로 전체의 11.6%에 불과했는데, 그중 30세 미만 전문의는 9명에 그쳤다. 향후 전문의 고령화에 따라 산부인과 의사 부족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60.8세) ▲전북(59.6세) ▲전남(59.1세) 순으로 산부인과 전문의의 평균연령이 높았다.

전국 평균인 54.4세보다 낮은 지역은 ▲대구(54세) ▲경기(53세) ▲서울(51.8세) ▲세종(51.5세)의 4개 지역에 그쳤다.

한편, 여성 인구 1000명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전국 평균 0.24명으로 채 1명도 되지 않았다.

전국 평균보다 산부인과 전문의가 더 많은 지역은 ▲서울(0.34명) ▲광주(0.29명) ▲대구(0.28명) ▲부산(0.28명) ▲대전(0.25명)으로 모두 특별시와 광역시였다.

박희승 의원은 “산부인과 전문의 10명 중 3명은 이미 법정 정년을 넘겼음에도 불구하고, 30대 이하 전문의는 10명 중 1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지방일수록 전문의 수도 적고 평균 연령도 높아 향후 산부인과 의료 공백이 우려되는 만큼, 지역의 공공의료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