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권 원로들은 20일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회동을 앞두고 두 사람이 타협해서 김건희 여사 문제에 대해 변화하고 실천할 수 있는 일을 찾아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 대표가 제시한 ‘김 여사 문제 3대 해법’에 대한 절충점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다. 서로 한 발짝 물러서면서 형과 아우로서 도리를 다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유준상 국민의힘 상임고문은 “윤 대통령이나 한 대표가 ‘어떤 액션을 취해야 집권 여당과 정부가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고 지지를 얻을 수 있느냐’에 방점을 두고 만나야 한다”며 “물밑으로는 충분히 다 얘기가 돼 있는 것 아닌가. 김 여사 문제에 대해서는 변화를 가져와야 될 것이고,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가 연일 김 여사를 겨냥한 발언 수위를 높인 것에 대해서는 자제해야 한다는 취지의 조언도 이어졌다.
유 상임고문은 “더 얘기하지 않아도 다 아니까 만나서 그 범위 내에서 얘기를 하면 된다”며 “일반적인 지지자들이 볼 때 재보선에서 이겨서 마치 승승장구하는 것처럼 보이면 안 되고, 한 대표 측근이라는 사람들도 나서서 얘기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
원로들은 윤 대통령의 입장과 한 대표의 요구 사이에서 타협점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흥수 상임고문은 “한 대표 주장대로 다 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절충하면서 유사한 결론이 내려져야 한다”며 “갈등이 지속되면 당에도 좋지 않고 두 사람에게도 좋은 일은 아니지 않나.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고 나면 어느 정도 선에서 합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같이 자주 만나야 한다”며 “만남을 정례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민심을 잘 살펴서 민심을 따라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한 여권 원로는 “집권당 입장에서 대통령 지지율이 낮은 것은 부담일 수 있고, 대통령과 한 대표의 생각이 같을 수는 없다. 한 대표 입장에서는 앞으로 계속 선거를 치러야 하고 국민적 지지가 절실한데 대통령이나 김 여사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왜 고민하지 않았겠나”라며 “민심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 정당은 민심을 잃으면 끝”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