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0 16:18 (일)
내년 테슬라·GM은 美서 보조금 받는데…현대차 ‘빨간불’
상태바
내년 테슬라·GM은 美서 보조금 받는데…현대차 ‘빨간불’
  • 이강여 기자
  • 승인 2022.12.21 1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미 최종 조립 요건’ 충족 못한 현대차
1000만원가량 세액공제 혜택 못 받아
경쟁력 하락 불가피…보조금 공백 기간 길어져
▲ ‘IRA 대응 민관합동간담회’ 참석한 장재훈 현대차 대표이사. /뉴시스
▲ ‘IRA 대응 민관합동간담회’ 참석한 장재훈 현대차 대표이사. /뉴시스

현대자동차의 미국 전기차 사업 여건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미국 전기차 시장의 최대 경쟁자인 테슬라와 제너럴모터스(GM)가 새해부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보조금 혜택을 받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현대차가 한결 불리해질 수 있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19일(현지시간) IRA 시행에 따른 전기차 세액 공제 세부 규정을 내년 3월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재무부는 이 규정을 연말까지 밝힌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배터리 광물과 부품 공급망 복잡성 등을 이유로 발표를 3개월 미뤘다.

이에 따라 테슬라와 GM 등 현대차의 경쟁사들은 새해부터 최대 7500달러(965만원)의 보조금 혜택을 받을 것이 확실시 된다. 기존 이들 기업은 전기차를 누적 20만대 이상 판매해 보조금 지급 대상이 아니었다.

하지만 내년부터 보조금을 받을 수 있게 돼 테슬라와 GM의 전기차는 1000만원 정도 할인 효과가 생긴다. 반면 현대차는 한국 생산을 이유로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없어 현대차의 미국 전기차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IRA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조기 착공에 나섰지만 실제 전기차 양산은 2025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미 운영 중인 조지아주 기아 웨스트 포인트 공장과 앨라배마 현대차 몽고메리 공장을 통해 북미 조립 요건을 채울 예정이었지만 이 계획도 지연되고 있다. 

그만큼 보조금 공백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관련 업계에선 IRA 시행에 따른 한국산 전기차 차별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소되기 힘들다는 관측도 들린다. 미국 정부가 보조금 하위 규정을 바꾸겠다고 언급했지만 ‘북미 최종 조립 규정’ 자체를 어떻게 바꿀지는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어서다.

이 규정은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을 북미 지역에서 최종적으로 조립된 전기차로만 제한한 규정으로 IRA 차별 논란의 핵심이다. 현대차의 아이오닉 5와 기아차 EV6 등 한국 완성차 업체가 미국에서 파는 전기차 중 이 규정을 충족하는 차량은 현재로선 없다.

만약 이 규정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하위 규정이 바뀐다고 해도 한국산 전기차는 최대 7500달러(965만원)에 달하는 세액 공제 혜택을 받지 못한다.

지난 8월 IRA가 시행되며 북미 최종 조립 규정이 발효된 가운데 그동안 한국 정부가 미국 재무부의 하위 규정 발표 시한(연말)을 앞두고 이 규정 시행을 3년 유예해줄 것을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지금까지 진행한 한국 정부와의 협의에서 ‘북미 최종 조립’ 규정의 변경은 어렵다는 뜻을 수차례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현대차가 미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방법 외에 다른 대안은 없다는 목소리가 들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