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에 대한 추가 지원이 쉽게 결정나지 않으면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반 년 만에 법정관리행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을 비롯한 쌍용건설 채권단은 조만간 출자전환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방침이다. 그러나 각 은행의 내부 의견이 모아지지 않은 상황에서 결정은 해를 넘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출자전환안은 5000억원과 3800억원, 두 가지다. KB국민은행, 산업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채권기관 중 현재까지 출자전환에 동의하는 곳은 한 곳도 없다.
채권단 실사 결과 2017년까지 적자가 누적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런 기업에 또 지원을 할 경우 배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지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쌍용건설은 상장폐지가 불가피해져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된다.
3000억원의 신규 자금 공급도 어려울 전망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11일 채권단에 3000억원의 자금을 제공하고 1200억원은 군인공제회의 지급보증을 상환하는 안을 내놨다. 그러나 이 마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의견이 많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일부 채권은행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의 결정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현재 은행 내부에서는 지금 지원해도 소용이 없다는 분위기"라고 입을 모았다.
다른 은행 관계자 역시 "청산가치와 계속기업가치의 차이가 크지 않은데 자금지원 필요성에 의문"이라며 "자금을 공급하면 군인공제회에 돈을 대주게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지원을 해야 하는 이유보다 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가 더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