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11일 사흘째를 맞은 철도노조의 파업과 관련해 상반된 시각을 드러냈다.
새누리당은 경쟁구도를 피하기 위한 '자기 밥그릇 챙기기'로 시민들의 불편과 물류 수송에 차질이 야기하고 있다며 노조원들을 비판했고, 민주당 등 야당은 문제를 합리적으로 풀 생각 없이 노조원들을 직위해제하고 고소·고발했다며 정부와 코레일을 비판했다.
새누리당 강은희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서민의 발을 볼모로 철도노조가 파업을 벌인지 3일째"라며 "어제부터 서울~신창 등에 운영되는 출퇴근 통근열차인 누리로 운행이 전면 중단돼 서민과 학생들의 불편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특히 화물 열차 운행을 평시 259회에서 91회로 3일연속 35%로 운영을 줄여 화물열차 수송이 3일째 70% 가까이 감축운영 되면서 물류 차질이 가시화 되고 있다"며 "파업이 장기화 되면 물류 수송에 차질이 생겨 2차 피해 또한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또 "코레일이 이사회에서 수서발 KTX 자회사를 설립한 것은 부채가 17조원에 달해도 독점 운영 때문에 개혁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공공성을 유지하며 경쟁체제 도입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나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철도노조의 명분없는 파업은 공공기관의 구주조정을 막고 경쟁구도를 피하려는 '자기밥그릇' 챙기기라는 국민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철도노조는 '철로 위에 누워서라도 민영화를 막겠다'는 코레일 최연혜 사장의 진정성을 믿고 즉각 파업을 철회해 철도공사의 미래와 국민들의 안전과 원활한 물류수송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대표는 특히 "파업에 돌입하자마자 5900여명의 노조원을 직위해제하고, 200여명의 집행부를 업무방해로 고소·고발하는 것을 보면 정부는 문제를 합리적으로 풀 생각이 전혀 없는 것 같아 보인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박근혜정부는 지금이라도 갈등조정을 통한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도 이날 오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철도공사는 '코레일 가족동산'의 연락처를 이용해 노동자 자녀들에게까지 협박을 담은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야말로 반인륜적이고 파렴치한 행태"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