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11일 민주당 양승조·장하나 의원에 대한 새누리당의 제명요구징계안 제출과 관련해 공방을 벌였다.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여야 간사들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한 가운데 새누리당은 양 의원과 장 의원의 발언은 제명안 제출감이라고 강력 비난했고 민주당은 새누리당이 정치적 액션을 벌이고 있다고 맞받아쳤다.
윤리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염동열 의원은 제명요구징계안 제출에 대해 "당연한 일"이라며 "(양 의원과 장 의원의 발언은) 징계사안 중에서 제명까지 갈 수 있는 사안이라는 뜻"이라고 밝혔다.
염 의원은 그러나 제명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야 합의를 통해 3분의 2가 찬성해야만 제명이 된다"며 "민주당이 동조하지 않으면 사실 쉽지 않은 사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양심에 맡긴 것 아니겠나"라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 김한길 대표의 유감표명에 대해 "정치를 하다 보면 실수도 할 수 있고, 의도됐든 의도되지 않았든 여러 가지 발언이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럴 때에는 한 당의 책임자로서 분명하게 명확하게 사과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유감표명으로 간 것은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양 의원이 사과와 유감표명을 거부한 데 대해서는 "국회의원의 재갈을 물려서 입을 봉쇄하는 시대는 아니지 않나"라며 "사과하지 않겠다는 것은 극단적 지지자들, 일부의 지지자를 묻거나 뭔가 불을 당겨보려고 하는 듯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사안을 보는 국민 수준이 그렇게 낮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양 의원과 장 의원에 대해 "국민에게 직접 사과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면서도 "그러나 사과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들이 사과할 경우 윤리특위 제소 철회 여부에 대해서는 "윤리위원회에서 절차에 따라서 그럴 수는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문재인 의원에 대해서는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민주적 절차에 의해 선거를 했던 분이기 때문에 (문 의원이) 명확한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다"며 "문재인 후보가 국민을 설득하고 국민에게 말씀해주시는 것이 사태를 하나의 화합의 정치를 끌어나가는 데에 필요한 키"라고 주장했다.
반면 국회 윤리특위 야당 간사인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본회의에서 재적의원 3분의 2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하니까 새누리당도 이것(제명안)이 (통과)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정치적 액션이고 공세"라고 새누리당을 비판했다.
박 의원은 "민주당이 소송을 제기하거나 대법원에 계류 중인 대선 무효소송에 민주당이 참관한다면 정치적인 매우 큰 파장이 있는 법적인 조치"라면서 "개인 국회의원으로서의 판단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새누리당이 가타부타 비판은 할 수 있지만 제명으로 가는 것은 입을 봉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2002년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무효소송을 제기했던 것과 김무성 의원의 '나는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발언,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의 '문재인 후보가 당선되면 무효투쟁을 불사하겠다'는 발언을 언급하며 "민주주의에서 있을 수 있는 의견의 표현, 정치적 판단의 표현으로 받아들여졌으면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김한길 대표의 유감표명과 관련, "그 정도 당대표께서 말씀을 하시면 어느 정도 새누리당에 대한 예의를 표한 것"이라며 "이것이 결국은 새누리당의 종북 프레임과 대선불복 프레임으로 새누리당이 너무 악용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종북 프레임과 대선불복 프레임에 대통령께서 상당한 정도로 개입해오셨다"며 "한쪽의 면만 보고 듣고 하시는 것이 아니냐, 당신께 부담되고 비판적인 말에 대해서는 귀를 닫으려는 것 아니냐는 반문도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재인 의원 책임론에 대해 "이미 문재인 의원은 올 초에 대선에 승복하겠다는 선언을 했다. 대체 몇 번이나 해야 하나. 최소한의 예의를 보여줬으면 좋겠다"며 "새누리당 어느 대변인이 반역적이라는 표현을 썼다. 저는 이렇게 막 가면 안 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