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진보당 사태와 NLL(북방한계선) 논란 등에 대한 보수 성향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이 날로 거세지고 있다.
지난달 22일 박창신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원로신부의 연평도 포격 관련 발언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과 집권여당, 각료까지 비판 대열에 합류하면서 '종북' 논란이 연일 증폭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25일 자유청년연합은 "박 신부가 미사에서 국민들이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발언으로 국민을 분노하게 했다"며 박 신부를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곧바로 수사에 나설 뜻을 밝혔다.
전국 각지에서는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을 '종북'으로 규정하는 집회가 이어졌다. '민주화의 성지'로 일컬어지던 한국천주교서울대교구 명동성당 앞은 박 신부와 사제단을 규탄하는 시위대들이 메웠다.
'자유민주주의체제수호'와 '탈북인단체', '엄마부대 봉사단'과 '애국연대', '새마을포럼' 등은 한 목소리로 "사제단에 대한 이적행위 조사와 법적 조치"를 촉구했다.
은퇴한 경찰들의 모임인 '대한민국 재향경우회'도 기자회견을 열고 "천주교계를 폄하하고, 국민을 분열시키는 정치적 성향이 짙은 신부들의 자성을 촉구한다"며 사제단의 시국 미사를 규탄했다.
복수의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보수 성향 단체들의 목소리가 날로 커지고 있는 이유 중 하나로 '늘어난 비영리 민간단체 지원금 규모'를 꼽는다.
5일 안전행정부의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 선정 결과' 자료를 보면 지난 2011년부터 비영리민간단체에 대한 지원금 규모가 급격하게 늘어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49억원을 지원해오던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비가 2011년에 들어서면서 98억7000만원으로 늘었다. 더불어 매년 150개 전후였던 지원 사업 수도 220개로 확대됐다.

이어 2012년에는 지원 사업 수 290여개, 총사업비 147억8000만원을 기록했다. 안행부는 올해도 289개 사업에 144억8000만원을 지원했다.
지원항목에도 변동이 있었다. 총사업비와 지원사업 수가 크게 늘기 시작한 2011년부터 '국가안보' 항목이 생겼다.
2011년에 신규 도입된 '국가안보 증진 및 안전문화 정착' 항목은 2012년 '국가안보 및 사회통합', 2013년 '국가안보·재난안전과 사회통합'으로 조금씩 명칭을 바꿔가며 지원사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보수 성향 단체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는 것 같다"며 "2008년 촛불 이후 정부가 시민단체의 성격을 '진보'로 규정하고 지원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안보' 성향으로 흘러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급속한 경제개발로 인해 정치민주주의가 제대로 발전하지 못해 좌우대립이 심할 수밖에 없었고 지금도 그렇다"며 "그런 의미에서 과도기라고 볼 수 있는데 이 과도기가 조절이 안 되거나 정부가 중립을 지키지 못 하면 국론 분열이 심해질 수 있다"고 경계했다.
아울러 "지원금을 받는 문제는 사실 정부와 기업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봐야 하는 시민사회단체에 있어 끝나지 않을 고민"이라며 "특정 이슈에 반응하는 것보다 독립성을 갖고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