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로구는 12월 24일까지 법적 관리대상이 아닌 시설을 표본 추출하여 ‘소규모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을 측정, 관리한다.
이번 대상시설은 지난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관리해 왔던 어린이집, 경로당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로 기존의 실내공기질 측정시 기준치 초과시설 35개소이다. 이 자료는 계절별, 연도별 실내공기질의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방안 마련에 활용된다.
구는 주민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난 2011년 204개소를 대상으로 시작해 소규모 어린이집(430㎡ 미만), 경로당, 소공연장 등 현재는 법의 사각지대에 놓인 432개소의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을 관리해 오고 있다.
연 2회 해당시설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환기설비, 청소상태 등을 파악하고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에 대한 컨설팅을 병행하여 개선방안을 제시, 측정 결과자료를 체계적으로 연속 관리하고 있다. 공기질의 측정항목은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포름알데히드(HCHO) ▲휘발성유기화합물(TVOC) ▲온도와 습도로 6개 항목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기준치를 초과한 시설에 대해서는 개선을 권고하면서 친환경 건축자재의 사용을 권고하는 등 시설주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있다.
지속적인 관리로 법 미적용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의 종로구의 실내공기질은 2011년에는 27.2%(195개소 중 53개소)가 기준을 초과하고, 미세먼지 평균농도도 어린이집 78.7㎍/㎥, 소공연장 104.8㎍/㎥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2012년의 자료에 따르면, 기준초과 시설이 8.7%(195개소 가운데 17개소)로 줄고, 미세먼지 평균농도 또한 49㎍/㎥, 58㎍/㎥로 매우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내 환경감시단 3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체감안전지킴이를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체감안전지킴이와 함께 홍보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또한 경로당 간부들과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관리 토론회를 열어 실내공기질 관리 사업에 주민의견을 반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