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지는 공감하지만… 아쉬운 부분 많다."
정부가 주도하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에 기업들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실업문제 해소와 고용시장 유연성 측면에서 어느 정도 취지는 공감하나, 기본적으로 '효율'을 추구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부담을 느낀다는 목소리다.
일단은 대기업들이 먼저 움직였다.
삼성은 내년 초까지 시간선택제 일자리 6000개를 만들 예정이며, 롯데그룹은 롯데호텔, 롯데카드 등 주요 계열사 10곳에서 총 2000명을 채용할 방침이다. 이밖에 신세계그룹 1000여명, CJ그룹 500여명, 한진그룹과 LG그룹 400여명, 신한은행 200명, 한화그룹과 GS그룹 150명, SK그룹은 100명 규모의 시간제 근로자를 뽑는다.
26일 롯데그룹 관계자는 "정부의 핵심 공약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기업이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일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SK그룹 또한 "양질의 역량을 갖춘 분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우려섞인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작정 시간제 일자리를 만든다는게 큰 부담이 된다는 입장이다.
10대그룹의 한 인사 담당 관계자는 "없던 자리를 새로 꾸리는데 부담이 있는 건 사실"이라며 "정부에서도 명확한 안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준비 과정이라 생각한다. 아직 초기 단계여서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부담이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라며 "제도 도입 과정에서 기업과의 소통이 부족했던 것 같다.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민간기업을 압박하는 격 아니냐"고 볼멘소리를 냈다.
추가 채용 계획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답을 내놓지 못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짧은 시간에 시간제 일자리에 적합한 직무군을 추리다보니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 많다"며 "내부적으로 확대를 해야하지 않겠냐는 얘기는 나오고 있지만 확정된 사안은 없다"고 털어놨다.
비교적 큰 규모의 채용계획을 내놓은 한 대기업 관계자 또한 "우선 이번 계획안을 제대로 유지하는게 먼저"라며 "명확하게 채용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답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의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0대 그룹의 한 관계자는 "단기간 내 사회적인 인식 개선도 필요하고 기업의 직무개발 노력도 뒤따라야하지만 무엇보다 정부 지원이 합리적으로 이뤄져야한다"며 "현재로선 정부와 재계가 얘기하는 반듯한 양질의 일자리가 나오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