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신연금(종신형 연금보험)에 부어야 하는 적정비율은 은퇴자산의 3분의 1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국내 평균 은퇴자(주택 외 은퇴자산 2억5000만원, 국민연금 수령액 월 84만원)의 종신연금 적정비율을 산정한 결과, 은퇴자산의 3분의 1 가량(24~42%)인 것으로 분석됐다.
종신연금 비율이 24% 이하로 떨어지면 생활비 보장이 힘들고, 42%를 넘게 되면 구매력 하락과 돌발 이벤트에 대한 대응 등으로 은퇴파산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연구소는 "은퇴기간이 아무리 길어져도 종신연금이 있다면 생활비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다"면서도 "종신연금의 구매력은 시간이 갈수록 하락하고, 목돈이 발생할 경우 해지나 조정이 불가능하다"며 종신연금의 적정비율 산정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은퇴준비가 평균보다 부족한 사람의 경우 주택연금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베이비붐 세대의 평균 주거자산 가치는 약 1억5000만원인데, 이를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월 34만원을 수령할 수 있어 은퇴파산을 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반대로 자산이 많거나 국민연금 수령액이 최저 생계비를 웃도는 사람은 종신연금이 없어도 은퇴파산을 면할 수 있기 때문에 희망하는 생활비의 확보를 목표로 종신연금을 활용할 수 있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장은 "평균적인 은퇴자의 종신연금 적정비율은 자산의 3분의 1 정도이지만 개인의 은퇴준비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며 "100세 시대에는 은퇴기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종신연금과 비연금자산의 적절한 배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