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서울시장은 14일 택시의 승차거부와 관련, "구조적으로 승차거부 등을 해결하려면 택시기사의 생활안정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날 오전 PBS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택시 기본요금 인상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받자 이같은 뜻을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12일 오전 4시를 기해 택시 기본요금을 2400원에서 3000원으로 올렸다. 시는 거리요금도 144m당 100원에서 142m당 100원으로 조정했으며, 2009년 6월1일 폐지됐던 '시계외할증' 역시 부활시켰다.
박 시장은 지난주 현장시장실 운영을 통해 대중교통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택시기사의 생활고를 승차거부의 구조적 원인으로 지목하며 이번 요금인상은 택시기사의 생활안정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과거에는 (요금인상분이 택시회사)대표에 다 갔었다. 이번에는 올리기 전에 임단협을 해서 노조와 대표가 협의를 해서 이번 인상으로 생기는 요금인상분의 85%를 임금에 반영하도록 했다. 27만원 정도가 오르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게 월급제의 기초가 된다"며 "장기적인 목표는 버스기사 월급정도까지 간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승차거부의 또다른 원인으로 "경기도 택시가 많이 서울에 와서 이분들은 진짜 골라 태운다"며 "이런 것들도 제대로 단속을 한다. 경기도 택시가 승차거부 많다. 광화문 종로까지 많이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기본적으로 택시가 너무 많다. 서울시만해도 7만대인데 감차가 필요하다"며 "이건 중앙정부의 정책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택시 승차거부를 근절하기 위한 대안으로서의 심야버스 추가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는 "너무 확대하면… 택시 기사도 한편으로는 성인"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