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8 16:37 (화)
줄어드는 청년고용, 경기디커플링에 영향
상태바
줄어드는 청년고용, 경기디커플링에 영향
  • 엄정애 기자
  • 승인 2013.10.02 12: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층의 고용이 줄어들고 장년층 이상의 고용이 늘어나는 현상이 경기 디커플링(비동조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선영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전문연구원은 2일 '인구구조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34개국 중 우리나라 고령층 고용률은 2011년 기준 7위(62.1%)인 반면 청년층 고용률은 29위(23.1%)에 그쳤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총고용 구성의 변화를 보면 40대 이상 취업자 비중은 증가(31→40%)하고 20~30대의 비중은 축소(55%→45%)됐다. 주고용층 연령이 총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로 동일하지만 그 무게중심은 20~30대에서 40대로 이동했다.

높은 대학진학률과 경기침체 등으로 신규 취업자에 대한 진입장벽이 높아진 것이 낮은 청년 고용률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고령층 고용률이 높다는 것은 노후소득에 대한 대비가 제대로 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생계형 취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고용 없는 성장'과 '성장 없는 고용' 즉, 경기-고용 간 비동조화에도 영향을 줬다. 베이비부머의 고령화가 총고용 구성과 각 고용부문의 특성을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외환위기 이전 1990년대에는 고용과 경기가 함께 움직이는 정도가 96% 수준이었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64%로 하락했다. 투자를 통해 성장이 이뤄지는 가운데 고용도 자연스럽게 증가한다고 보는 전통적 신고전파 성장이론의 예측과는 다르다.

정선영 전문연구원은 "2000년대 들어 베이비부머들이 50세 이상 장년층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20~30대 고용의 비중이 축소된 것이 경기-고용 간 비동조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고령층의 경우 비임금근로자의 비중이 높고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의 비중도 높다. 자영업 중에서도 고용원이 없는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 전문연구원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청년층 고용 확대를 통해 고용률을 올리고 고용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취약한 소득·연금 구조로 인해 경제활동인구로 편입되고 있는 고령층의 고용환경에 대해 정책적 고려가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